사회 > 사회일반

[종합]"용산공원 이대로라면 '반쪽공원'"…서울시, 추진계획 전면수정 요청

등록 2016-08-31 11:56:31   최종수정 2016-12-28 17:34:59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권현구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이 3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용상공원 조성 관련 서울시 입장 및 정책제안을 발표하고 있다. 2016.08.3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손대선 기자 = 서울시가 정부의 용산공원 기본설계용역 완료를 1년 앞두고 공원부지내에 잔류하는 미군부대 시설을 평택으로 이전시키고 정부기관 청사 건립은 철회해야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정부 계획대로라면 최초의 국가공원인 용산공원이 역사성이 결여된 반쪽짜리 공간에 머물 것이라며 공원조성 일정의 전면적인 수정도 요청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31일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용산공원에 대한 입장 및 정책 제안'을 발표했다.  

 서울의 한복판에 위치한 용산은 군사적 요충지라는 점 때문에 러시아, 일본 그리고 미국 등 3국의 군대가 차례로 진주했다.

 2003년 한미 양국 간 군사기지 이전합의에 따라 용산미군기지는 올해 말까지 평택으로 이전한다. 정부는 미군이 떠난 자리에 2027년까지 최초의 국가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박 시장은 이와 관련, "용산미군기지 반환은 단순한 부지의 반환이 아닌, 100여년 이상 역사적 흐름을 간직한 수도 중앙의 광활한 100만여평(약 358만㎡) 대지에 대한 공간주권의 회복인 동시에 정체성의 회복"이라며 용산공원 조성의 의미를 알렸다.

 그러면서 미군부대 및 정부기관 부지 잔류가 358만㎡에 이르는 용산공원에 미치는 악영향을 경계했다.

 현재 용산공원 내에 잔류하는 미군부대 부지는 22만㎡에 달한다. 미대사관부지와 헬기장, 드래곤힐 호텔, 출입방호부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에 미군 측이 추가로 사용요구중인 한미연합사령부지가 공원 중심부에 들어설 경우, 공원이 완성되더라도 허리만 잘록한 기형적 형태가 될 수 있다는 게 서울시의 주장이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권현구 기자 = 박원순 서울시장이 31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용상공원 조성 관련 서울시 입장 및 정책제안을 발표하고 있다. 2016.08.31.  [email protected]
 정부기관이 건립되는 부지는 미군부대 잔류 부지보다 5배 가까이 되는 93만㎡다. 기 반환받은 국방부 소유 전쟁기념관을 비롯해 방위사업청, 국방부 청사, 문체부 소유 국립중앙박물관 등이 용산공원에 들어설 예정이다.

 서울시의 계산대로라면 미군부대 및 정부기관 부지를 제외하면 용산공원 조성 면적은 당초 면적인 358만㎡ 대비 68%에 불과하다.

 서울시는 이 대목에서 가장 문제삼는 것은 용산공원의 성격이다.

 서울시는 외세가 진주한 굴곡진 역사도 역사의 일부분이라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 콘텐츠를 미군기지 이전 후 조성되는 용산공원 안에 채워넣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나아가 용산공원을 시가 수립해 시행중인 '2030 서울플랜', '역사도시기본계획' 등 상위 도시계획의 기반으로 삼겠다는 의지도 내비쳤다.

 하지만 현재 정부의 밑그림대로라면 용산공원의 성격은 모호해지면서 반쪽짜리 기능에 머물 것이라는 게 서울시의 주장이다. 미군부대는 당초 계획대로 평택으로, 정부기관 창사 건립은 역사공원의 성격에 맞게 재조정되어야 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다. 

 박 시장은 이날 정부 계획의 문제점으로 ▲제대로 된 현황조사 없는 성급한 공원조성계획 ▲시민소통·공감 외면한 국토부의 일방적인 추진 등을 꼽았다.

 박 시장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3대원칙을 제안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안지혜 기자 = 서울시는 31일 '용산공원에 대한 입장 및 정책 제안'을 통해 현재 용산공원 내에 잔류하는 미군부대 부지는 22만㎡에 달한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우선 "용산공원의 역사·문화·생태 등 가치에 대한 조사가 선행돼야 하며 국가적 가치구현을 위한 공원조성의 기본방향 설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용산공원은 누더기 형태로 특별법상 미잔류부지(헬기장, 출입방호부지, 드래곤힐, 미대사관부지 등)와 정부부지(국방부, 방위사업청 등) 존치로 243만㎡이나, '온전한 터'의 모습은 미래서울의 심장 형태로 358만㎡"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국토부 주도의 폐쇄적 추진이 아닌 시민 주도의 열린 조성으로 현세대와 미래세대가 함께 고민하는 국민적 과정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3대 원칙을 기반으로 범정부적인 공동조사와 국가공원 성격의 재정립, 공원경계 회복, 반환 및 이전시기 공표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개정과 '추진일정 전면 수정'을 통해 용산공원 조성 계획을 전면적으로 손봐야한다고도 주장했다.

 박 시장은 "현 세대에 한정된 근시안적인 개발계획으로 외세가 잔존해 민족공원의 근간을 훼손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용산공원이 대한민국 수도 서울, 그 중심에 세계적 명품공원으로 조성되어 미래세대를 위한 기회와 도약의 공간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제안을 정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에 대해 "정부가 보여줬던 조치는 굉장히 기대를 배반하는 것이어서 항의하고 반대도 했지만 지난 발표 이후 대부분의 언론이 반대했고 시민들이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가 서울시의 충심어린 제안을 받아들일 거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자심감을 내비쳤다.

 또한 "정부의 어떤 조치에도 불구하고 서울에 존재하는 국가 공원이고 우리 민족 큰 자산이기도 하다. 서울에 위치하고 있고 서울시장으로서 말씀 드린 방향과 내용으로 추진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정부의 태도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할 일은 해야겠다"고 용산공원 문제에 관한한 물러서지 않을 것을 강조했다. 

 용산공원 사업비 부담 여부와 관련해서는 "기본적으로 용산공원은 국가공원으로서 특별법도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국가가 준비하는 게 맞다"면서도 "다만 서울시가 할 수 있는 일은 하겠다. 용산공원 뿐만 아니고 현재 용산공원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지역은 서울시가 여러가지 고민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