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사회일반

[뒤틀린 광복70년③]뒤늦은 보훈, 독립운동가를 '가난'으로 내몰아

등록 2015-08-13 07:00:00   최종수정 2017-01-05 06:33:48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associate_pic
【세종=뉴시스】김기태 기자 =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국가보훈처 전경 모습. 2014.11.1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표주연 기자 = 우리나라의 독립운동가들은 왜 가난을 대물림하게 됐을까. 해방 후 친일 청산을 제대로 하지 못한 역사 등을 꼽을 수 있지만, 그 문제는 보훈 제도와 밀접히 연관돼 있다.

 독립유공자가 가난하다는 것은 국가의 존립과 주권 수호를 위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희생하거나 뚜렷한 공훈을 세운 사람 또는 그 유족에게 적절히 보상하는 '보훈'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그보다 먼저 생각해 볼 것이 있다. 프랑스 미테랑 전 대통령이 가장 먼저 맡았던 공직은 무엇일까. 바로 우리나라 보훈처장격인 재향군인상이었다. 미테랑 전 대통령은 1947년 보훈 업무를 담당하는 것으로 공직을 시작했고, 이후 16년 동안 대통령을 역임했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미테랑이 보훈 업무를 맡았던 시점이 1947년이라는 것이다. 프랑스는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2년 만인 1947년부터 나치와 맞섰던 국가유공자에게 보훈 하는 업무에 착수했다.

 독립운동가와 그 후손들이 어려운 생활을 하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보훈 제도의 시발과 연관돼 있다.

 우리나라 보훈 업무는 1961년 군사원호청 설치가 시작이었다. 이전까지는 사실상 독립운동가와 후손들에 대한 보훈이 전무했다고 볼 수 있다. 해방 후 17년이 지나서야 독립운동가 등에 대한 보훈 업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것이다.

 따라서 일제와 맞서 싸웠던 독립운동가는 대부분 광복 후 생계를 걱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총칼을 들고 일제와 맞섰던 독립운동가들이 조국으로 돌아와 막노동판을 전전하거나 보따리 상인이 돼야 했다.

 게다가 가장 문제는 2세 교육이었다. 이 '잃어버린 20여 년' 동안 전직 독립운동가들은 각자 생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급급했으며, 자녀들은 거의 교육을 받지 못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영화 ‘암살’(감독 최동훈)의 한 장면.
 일제강점기 상당한 거부로 이름이 높았지만 모든 재산을 독립운동에 바친 이상룡 선생의 손자며느리 허은 선생은 회고록의 마지막 단락에서 이렇게 밝혔다. "모든 재산을 광복을 위해 바친 것은 후회가 없지만, 교육을 받지 못한 자녀들에게 미안하다."

 민간단체인 민족문제연구소는 독립유공자 후손 중 직업이 없는 사람이 무려 60%를 넘고, 고정 수입이 있는 봉급생활자는 10%대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독립운동가 본인과 후손들의 연령대가 높다는 점을 감안해도 무직자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광복회 관계자는 "독립운동가 유족의 경우 80%가 차상위계층이라고 보면 된다"며 "일일이 공개할 수 없지만, 많은 분이 상당한 생활고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민족문제연구소 방학진 사무국장은 "해방 후 독립운동가에 대한 보훈에 눈을 돌린 것은 20년이 훨씬 지나서"라며 "보훈처가 창립될 때는 그나마도 6.25전쟁 전사자에 대한 공적에 비중을 더 뒀다"고 설명했다.

 방 사무국장은 "가장 큰 문제는 독립운동가 대부분이 2세 교육을 전혀 하지 못했다는 것"이라며 "결국 독립운동가 중 명망가 일부를 제외하고는 가난이 대물림됐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