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 연예일반

[리뷰]좀비 재난 데칼코마니 '서울역'

등록 2016-08-17 05:55:00   최종수정 2016-12-28 17:31:01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손정빈 기자 = '부산행'을 내놓은 연상호 감독이 그의 전작들을 사랑했던 관객에게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변했다'일 것이다. 연상호는 '부산행'에서 분명히 달라져 있었다. 그는 '돼지의 왕'(2011) '사이비'(2013)에서 촘촘한 서사와 강렬한 캐릭터, 짙은 사회적 메시지를 동력 삼아 달렸다면 '부산행'의 이야기는 단선적이고, 캐릭터는 희미하고, 메시지는 옅었다. 대신 연상호는 장르영화의 쾌감을 내지르며 흥행에 성공했다. 그러니 연상호의 소수 팬(전작 두 편 관객 약 4만명)에게 그의 변화는 갑작스럽다.

 '부산행'의 프리퀄 애니메이션인 '서울역'에 대한 기대는 그래서 클 수밖에 없다. 그가 자신의 홈구장으로 돌아왔으니 이전의 연상호를 다시 만날 수 있다는 그런 기대감이다.

 하지만 '서울역'에서 관객은 '부산행' 이전의 연상호를 온전히 찾아낼 수 없을 것 같다. 물론 이 장편 애니메이션은 '부산행'보다 더 어둡고 음울하고 적나라하고 한층 가라앉아 있다는 점에서 전작들을 떠올리게 한다. 그러나 이 좀비 재난물의 화법은 '부산행'에 더 가깝다. 연상호는 정말 변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associate_pic
 혜선은 집을 나와 남자친구 기웅과 여인숙에서 살아간다. 방세가 밀린 기웅은 혜선에게 성매매 사기로 돈을 벌자고 제안하고, 혜선이 거부하면서 두 사람은 크게 싸우고 헤어진다. 그 시각, 서울역 노숙자들 사이에서 좀비 바이러스가 퍼지고, 그 일대는 아수라장이 된다.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던 혜선은 노숙자들 틈에 끼어 좀비들로부터 도망치고, 기웅이 인터넷에 올린 혜선의 사진을 발견한 혜선의 아버지 석규는 기웅을 만나 혜선을 찾아 나선다.

 '서울역'은 하나의 거대한 이미지다. 연상호 감독은 한국 사회라는 거대한 덩어리에서 썩은 부분들을 하나하나 도려내 캔버스 한 편에 붙여 어떤 얼굴을 만들고, 그 얼굴이 얼마나 추한 것인지 지켜본다. 그가 이 작품을 하나의 '풍경'이라고 말한 건 이런 의미다. '서울역'은 보편적 복지에 대해 말하지만 아픈 노숙자를 돕지 않고, 여자친구에게 성매매를 강요하고, 사고를 폭동으로 간주하고, 시민에게 아무렇지 않게 폭력을 사용하는 공권력의 이미지를 이리저리 이어붙여 하나의 이야기로 완성한다.

associate_pic
 좀비는 '서울역'이 그려놓은 현실에 대한 데칼코마니다. 영화는 좀비 바이러스가 퍼져 아수라장이 된 상황과 우리가 살아가는 세계를 대조하며 두 이미지가 어쩐지 비슷해 보이지 않느냐고 들이민다. 연상호 감독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서로 물어뜯고 뒤엉키는 이 지옥도가 차라리 지금의 현실보다는 낫지 않느냐고 묻는다. 현실에 고통스러워하며 힘없이 고꾸라지는 것보다는 상대를 향해 한 번쯤은 달려들 수 있는 좀비가 되는 편이 낫지 않느냐는 체념이다.

 연상호의 변화라는 건 바로 이 부분이다. 연 감독은 전작들에서 이미지가 아닌 서사로 극을 이끌었다. '돼지의 왕'과 '사이비'는 각각 '사회 계급'과 '카오스적 세계 속 믿음'을 여러 겹으로 만들어진 이야기로 '풀어내는' 작품이었다. 하지만 '서울역'은 다르다. 이 영화의 줄거리는 단순하다. 혜선이 좀비를 피해 도망친다는 게 전부다. 대신 이 작품은 관객이 이야기를 따라가는 데 정신 팔리지 않고, 현실을 명확히 목격하게 한다. 그러니까 연상호는 이야기를 단순화하는 대신 좀비 출몰이라는 재난과 현실의 복마전(伏魔殿), 그 자체를 캐릭터이자 메시지 삼아 극을 끝까지 밀어붙인다. 마치 '부산행'의 '좀비 기차'가 그 영화 최대 캐릭터였던 것처럼 말이다.

associate_pic
 다만 '서울역'에서 보여준 변화가 높은 영화적 완성도로 이어졌는지는 의문이 남는다. 이야기가 여러 가지 이미지들의 나열로 완성되다 보니 각각의 연결고리에서 매끄럽지 않은 부분이 발견된다. 영화 종반부 모델 하우스에서 펼쳐지는 반전은 충격적이지만, 앞선 러닝타임에서 인물들 간 감정을 충분히 쌓지 못하다 보니 충격을 넘어서는 울림을 주는 데 실패한다. 이는 '돼지의 왕'과 '사이비'가 보여준 뛰어난 결말과 비교되면서 아쉬움을 남긴다.

 어쨌든 연상호는 변화를 선택했고, 그 첫걸음으로써 '서울역'은 부분적이지만 성공적이다. '돼지의 왕'에서 '사이비'로 넘어가면서 연상호는 더 뛰어난 이야기 직조(織造) 능력을 보여줬다. '서울역'은 '서울역' 다음 작품에서 연상호가 보여줄, '이미지로 이야기를 만드는' 재능을 더 기대하게 한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