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문화일반

소멸, 그 슬픔의 소중함…김지연 사진 산문 '감자꽃' 展

등록 2017-12-07 06:00:00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조수정 기자 = 김지연 作 감자꽃. 전북진안.2012. (사진=류가헌.김지연 작가 제공.사진은 이 기사 외 사용을 불허합니다.) [email protected]
사진과 사진의 여백에 쓴 ‘감자꽃’ 같은 글
- 김지연 '감자꽃' 展. 오는 17일까지 류가헌에서

【서울=뉴시스】조수정 기자 = “감자꽃은 아무 소용도 없어. 밑이 실허게 들려면 꽃을 따 버려야 혀” 하며 금숙 씨는 꽃을 몇 개 툭툭 따낸다. “헐 일 없으면 감자꽃이나 따.” … 나는 감자꽃이 아무짝에도 쓸모없다는 말에 충격을 받고는 감자꽃을 따기 시작했다. 그런데 어찌나 이쁘고 곱던지, 그냥 버리기가 아까워 감자꽃을 묶어서 부케처럼 만들어 할머니 손에 쥐어 주면서 사진을 찍자고 했다. 그이는 자주 웃지 않는 주름진 얼굴을 살며시 펴며 웃었다. (김지연의 사진 산문 ‘감자꽃’ 中.)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조수정 기자 = 김지연 作 '근대화상회' 연작 중에서-전북 진안. 2009. (사진=류가헌.김지연 작가 제공.사진은 이 기사 외 사용을 불허합니다.) [email protected]
사진가이자 전시기획자인 김지연이 오는 17일까지 서울 종로구 청운동 갤러리 류가헌에서 사진 산문 ‘감자꽃’ 展을 연다. 류가헌의 32번째 사진책전시지원인 이 전시는 사진 산문집 '감자꽃'(열화당.반양장.208면 /흑백·컬러 사진 55컷
) 출간과 함께 개막했다. 김지연은 전북 진안의 사진공동체박물관 계남정미소와 전주 서학동사진관의 관장이기도 하다. 대학에서 연극과 영어영문학을 전공했고 오십의 나이에 사진을 시작해 근대 역사를 재조명하는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조수정 기자 = 김지연 作 '나는 이발소에 간다' 연작 중에서.전북 김제.2004. (사진=류가헌.김지연 작가 제공.사진은 이 기사 외 사용을 불허합니다.) [email protected]
김 작가는 20년간 11회의 개인전과 25차례 전시기획을 하고 10권의 사진집을 냈다. '정미소'(2002), '근대화상회'(2010), '낡은 방'(2012) 등 개인전과 사진집, '계남마을 사람들'(2006), '보따리'(2012) 등 전시기획을 하며 짬이라곤 없을 것 같은 그가 언제 글까지 썼을까. 사진을 하며 살아 온 삶의 여백에 틈틈이 글을 썼고, 이십여 년 간 찍어 온 사진들에 하나씩의 산문을 덧댔다. 지난해 사진집 ‘놓다, 보다’를 통해 처음으로 내면의 말들을 사진으로 풀어냈던 작가가, 이번에는 ‘사진 산문’라는 이름을 붙여 그간 하지 않았거나 미처 하지 못했던 이야기들을 펼쳐내는 것이다.

여러 전시와 사진집을 통해, 쓸모를 다하거나 소멸해가는 것들을 카메라에 담으며 김지연이 마주했을 수많은 삶과 사연들을 어림할 수는 있지만, 그가 만났던 이들의 이름과 생생한 문장, 그때의 감정을 모두 세세히 알기란 어려운 일이다. 아무짝에도 쓸모없지만 금숙 씨를 웃게 한 감자꽃과 꽃만큼 이쁘고 고운 금숙 씨도 사진 산문 ‘감자꽃’이 아니었다면 모르고 지나쳤을 것이다. 이렇게 사진 뒤로 흘러간 정답고 쓸쓸한, 결코 쓸모없지 않은 사물이, 사람이, 시간이 책 속에 기록돼 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조수정 기자 = 김지연 作 '삼천원의 식사' 연작, 백양국수1단5,000원. 2014. (사진=류가헌.김지연 작가 제공.사진은 이 기사 외 사용을 불허합니다.) [email protected]
‘감자꽃’의 책장을 넘기다 보면 김지연이 이어온 사진작업이 보이고 동시에 개인의 삶이 보이고 나아가 시대의 삶이 보인다. 일흔의 나이까지 정미소, 이발소, 근대화상회 등 흔적도 없이 사라지는 것들을 찾아다니는 사진가 김지연을 비롯하여 귀가 어두워서 남의 말은 듣지 않고 자기 말만 열심히 하는 김정출 씨, 흑백사진을 구식이라고 타박하던 이발사 동주 씨, 늘 골목 입구에 서서 우편물을 손에 들고 외치는 우체부 아저씨는 우리 옆에 있는 이웃이며, 공동체가 쇠락하는 시대를 겪어온 얼굴들이다.

시인 김영춘은 “생명을 귀하게 알고 기르는 일에 지극함을 다하는 일이 공동체의 알맹이라고 한다면 결국 우리는 생명에 대한 지극한 경지가 소멸하는 순간을 그의 사진을 통해 만나고 있다.”고 헌사한다. 소멸해간 시간과 그 시간의 슬픔, 그리고 그 슬픔의 소중함을 읽는 것은 독자의 몫으로 남을 것이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조수정 기자 = 김지연 作 '묏동' 연작 중에서 제주도.2005. (사진=류가헌.김지연 작가 제공.사진은 이 기사 외 사용을 불허합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