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정치일반

[文대통령 1년]대선 패배 후 지리멸렬…야당은 없었다

등록 2018-05-08 16:06:00   최종수정 2018-05-14 09:22:53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보수는 보수·중도는 중도끼리 갈라져 내홍

생존 위한 야권발 정계개편에 여론 '싸늘'

야4당 전체 지지율, 민주당 지지율에도 못미쳐

지방선거 후 대대적인 야권 개편 불가피할 전망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이근홍 기자 = 문재인 정부 출범 후 1년간 야권의 존재감은 미미했다. 보수정당은 둘로 쪼개져 서로를 향한 비판에만 열을 올렸고, 중도를 표방하던 국민의당도 결국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으로 나뉘며 명확한 색깔을 내지 못했다.

 정부·여당이 경제 정책, 인사 등의 분야에서 실책을 저지르고, 미투(Me Too·나도 당했다)에 연루된 상황에서도 지지율 고공행진을 달리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야당이 없었기 때문'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지난해 5월9일 대선 패배 이후 야권은 우왕좌왕하고 있다. 보수정당의 내홍이 야권의 존재감을 희석시키고 있다.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둘로 갈라선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은 이후 서로에게 가장 아픈 존재였다.

 한국당은 바른정당을 '배신자'에 비유하며 가짜보수 프레임을 씌웠고, 바른정당은 한국당을 '청산의 대상'으로 규정했다.

 칼 끝을 겨눈 상태에서 이뤄진 이합집산은 정치에 대한 불신을 키웠다. 33명으로 출발했던 바른정당이 9명의 소수정당으로 전락하는 과정에서 한국당, 바른정당 인사들이 다시 한국당에서 한솥밥을 먹게 되자 보수 지지층 마저도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중도를 기치로 내걸었던 국민의당은 창당 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지난해 말부터 본격화한 바른정당과의 통합 과정에서 극심하게 반발했던 일부 인사들이 민주평화당을 만들어 떨어져 나갔고 소위 '통합 찬성파'가 바른정당과 바른미래당을 창당했다.

 통합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른 뒤부터는 국민의당 내부 진통이 워낙 심했기 때문에 사실상 정부·여당에 대한 견제 기능은 마비됐다. 당 내부 의견이 모이지 않는 상황에서 국민의당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국민은 없었다.

 야권 지형에 변화가 있었지만 최근까지도 분위기 반전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있다.

 제1야당인 한국당은 집안 단속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홍준표 대표가 당권은 잡은 뒤 친박(친 박근혜), 친홍(친 홍준표) 등 계파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의원 간 막말이 오가며 지지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지난해 11월 홍 대표가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출당 조치를 내리며 당내 계파 갈등은 일단락됐지만 6·13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다시 '사당화' 논란이 불거지며 잡음은 계속되고 있다. 최근에는 4선 중진인 강길부 의원이 홍 대표의 공천에 불만을 품고 한국당을 탈당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

 바른미래당은 출범 후 3개월이 다 되도록 화학적 결합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특히 안보·외교와 관련한 문제에 대해서는 국민의당 출신과 바른정당 출신 인사들이 여전히 입장 차를 드러내고 있다. 지방선거와 재보궐선거 공천을 놓고는 안철수계와 유승민계가 기싸움을 벌이는 형국이다.

 평화당은 정의당과 '평화와 정의의 의원모임'을 꾸려 원내교섭단체에 진입했지만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야권 지지율을 모두 합쳐도 여당 지지율에 미치지 못하는 쏠림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2~3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5701명에게 통화를 시도, 최종 1002명의 응답을 집계한 결과(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에 따르면 민주당의 정당 지지율은 55%다.

 반면 한국당은 12%, 바른미래당은 6%, 평화당은 1%, 정의당은 5%를 각각 기록했다.

 설문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 정치권 관계자는 "야당에 대한 지지율이 너무 낮게 나오다 보니 오히려 야권이 조급해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최근 남북 정상회담 성과를 놓고 일부 야권 인사들이 '비판을 위한 비판'의 목소리를 내는 게 대표적인 예"라고 지적했다.

 그는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성급한 교육 정책, 미투,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 등 정부·여당에 악재가 될 요인들이 충분한데도 지지율이 떨어지지 않는 건 야권이 이런 것들을 지나치게 정쟁화 하기 때문"이라며 "성급한 국회 보이콧, 장외 투쟁, 막말 등으로 본질을 흐리기보단 냉정하고 객관적인 시각에서 사안을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지방선거 후 대대적인 야권발 정계개편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남북 정상회담으로 정부·여당에 대한 기대치가 높은 상황에서 야권 전체가 지방선거에서 참패할 경우 정계개편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한 야권 관계자는 "사실상 야권에서도 현 상태로는 제대로 된 야당의 역할을 하기 어렵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며 "지방선거 결과가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보수 지형에 큰 변화가 생길 수 있고, 반대로 신당 창당에 참여했던 인사들이 다시 기존 거대 양당으로 복귀하는 다양한 시나리오가 전개될 수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관련기사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