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산업/기업

연장 운영 합의했지만…공항 면세점 문제는 현재진행형

등록 2020-07-12 06:00:00   최종수정 2020-07-20 10:00:49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지난 9일 롯데·신라 등 연장 운영 합의

매출액 연동 임대료, 탄력적 매장 운영

그럼에도 적자 계속 증가 부정적 전망

신세계면세점 임대료 지원 문제 남아

코로나 이전과 다른 운영 방안 나와야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손정빈 기자 =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면세점 연장 운영과 임대료 문제를 두고 갈등하던 면세점 업계와 인천공항공사가 9일 합의점을 찾으면서 공항 면세점이 텅비어버리는 '공실 사태'는 일단 피했다. 다만 이번 합의가 새 사업자를 찾기 전에 면세점 업체들이 철수해버리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한 임시방편에 불과하고, 코로나 사태가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하고 있어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면세점 운영 방식이 하루빨리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단 공실은 피했다

공사는 지난 5월부터 신규 사업자 선정 입찰에서 유찰된 6개 사업권 사업자인 롯데·신라·시티·에스엠(SM) 면세점과 영업 연장 연부를 협의해왔다. 공사는 이들 면세점 업체와 계약이 8월31일에 종료되면 일부 판매 구역이 공실이 되기 때문에 새 사업자를 구할 때까지 영업을 이어가달라고 요청했다. 면세점 업체들은 연장 영업을 할 수는 있으나 공사가 기존 고정 임대료 방식을 고집하면 철수할 수밖에 없다고 맞섰다.

양측은 논의 끝에 매출액 연동 임대료를 적용하고, 탄력적 매장 운영이 가능하며 중도 영업 중단도 할 수 있다는 조건을 달아 연장 영업에 합의했다. 가장 먼저 롯데면세점이 수용했고, 이어 신라면세점과 시티면세점도 받아들였다. 다만 SM은 불어나는 적자를 감당하기 어렵다며 가장 먼저 철수를 선언했다. 이들 면세점 중 더 중요한 업체는 역시 대기업 면세점인 롯데와 신라다. 롯데는 DF3(주류·담배), 신라는 DF2(화장품·향수), DF4(주류·담배), DF6(패션·잡화)을 맡고 있다.
associate_pic

◇늘어나는 적자, 계속 감당할 수 있을까

문제는 면세점 업계가 코로나 사태로 불어나는 영업손실을 언제까지 버텨낼 수 있느냐다. 지난 1분기(1~3월) 롯데면세점 영업이익은 42억원에 불과했다. 1년 전보다 96% 줄었다. 신라면세점은 적자만 490억원, 신세계면세점도 324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면세점이 정상적으로 돌아간 1월 한 달이 포함된 실적이 이렇다보니 업계는 코로나 사태를 온몸으로 받아낸 2분기 이후엔 적자 규모가 더 불어날 거로 예상하고 있다. 면세점 업계 관계자는 "매월 실적 확인하기가 겁나는 상황"이라고 했다.

면세점 업체는 매출액 연동 임대료를 적용하더라도 적자라고 말한다. 인건비도 나오지 않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인천공항 이용객은 코로나 사태 이후에 코로나 사태 이전의 99% 줄었다. 이번에 합의 내용에 포함됐듯이 면세점들은 적자를 감당할 여건이 안 되면 운영을 중단하고 언제라도 철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손해를 보면서 계속 장사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했다. 이렇게 되면 공항 면세점 공실 사태는 피할 수 없게 된다.

면세점 빅3 중 하나인 신세계면세점 문제도 있다. 신세계면세점은 두 업체와 달리 2023년까지 DF1·5를 운영한다는 계약을 코로나 사태 이전에 이미 맺은 상태다. 계약대로라면 매년 4320억원을 임대료로 내야 하는데, 업계 형편을 볼 때 이 돈을 감당하기 힘들 거라는 게 중론이다. 앞서 대기업 면세 사업자와 공사가 합의한 임대료 50% 감면은 다음 달에 끝난다. 공사는 신세계면세점 임대료 지원책도 고민해야 할 상황이다.

◇새로운 면세점 운영 방안 나와야

코로나 사태가 언제 종식될지 누구도 장담하지 못하고 있다. 면세점 업계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짧아도 1년은 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016년 중국의 이른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타격을 입은 면세점 업계가 회복을 언급했던 게 지난해였다. 약 3년이 걸림 셈이다. 코로나 사태는 사드 사태 때보다 더 치명적인 타격을 면세점 업체에 주고 있다. 공사가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면세점 운영 방안을 내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면세점 업계 관계자는 "어느 한 쪽의 주장이 아니라 양측의 충분히 논의해 포스트 코로나에 대비해야 되는 시점"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