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사회일반

[먹는 치료제 가시화]②'1인당 90만원' 예상…"비용 대비 효과 있을 것"

등록 2021-09-19 13:00:00   최종수정 2021-09-27 07:05:05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전문가 "생활치료센터 입소 비용 300만원 달해"

정부 "입원 비용, 경제적 손실 비용과 비교해야"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김남희 기자 = 이르면 올해 안으로 상용화될 전망인 '먹는 코로나 치료제' 가격이 90만원을 호가하는 것으로 알려지며 우려를 낳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장기적인 확진자 격리 비용을 고려하면 비싼 가격이 아니며, 비용 대비 효과를 봐야 한다고 설명한다.

정부는 경구용 치료제 도입을 위해 올해와 내년 총 3만8000여명분에 예산 362억원을 배정했다. 1인당 90만원을 가정한 액수다.

지금까지 먹는 치료제 개발에 가장 앞선 제약사는 미국 머크사로, 이르면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 긴급사용승인 신청을 목표로 치료제의 임상 3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미국 정부는 지난 6월 12억 달러를 들여 머크사의 경구용 치료제 170만명분 선구매 계약을 체결했는데, 1명(1코스)당 700달러 가량을 지불한 것으로 전해진다. 제약사의 가격 책정 자체가 높았던 셈이다.

제약사들은 구매 국가의 재정 여력에 따라 가격을 다르게 책정한다. 이재갑 한림대 감염내과 교수는 "제약사는 소위 말하는 '잘 사는 국가'에는 비싸게, '못사는 국가'에는 싸게 판매하는 투트랙 전략을 구사한다"며 "우리나라 이미 세계 제약시장에선 선진국 기준으로 가격이 산정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가의 치료제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선 "백신을 접종해도 돌파감염이 발생하기 때문에 치료제는 계속 필요하다"며 "특히 우리나라처럼 확진자를 전원 격리하는 시스템에는 더욱 필요하다. 생활치료센터에 열흘 간 입원하면 1인당 거의 300만원이 드는데, 90만원 정도의 치료제로 입원하지 않을 수 있다면 비용 대비 효과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는 치료제 효과가 유효하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코로나19 고위험군 및 중등증 환자를 대상으로 항체 치료제가 일부 사용되고 있지만, 간편하게 투약할 수 있는 먹는 치료제가 확보돼야 '코로나와의 공존'이 가능하다는 것이 정부의 인식이다.

배경택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10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먹는 치료제를 드시지 않게 되면 병원에 입원하거나 생활치료센터를 가야 한다. 그런 경우 들어가는 직접적인 비용과 경제적 활동을 못하는 데 따른 비용을 계산해 비교해서 평가해야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치료제가 출시된 후 가격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스위스 로슈사, 미국 화이자사도 각각 임상 3상에 돌입해 내년 출시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통상적으로 다른 제약사에서 특허를 회피한 치료제가 개발되면 가격이 재조정된다.

정부는 현재 머크사를 비롯한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와 선구매를 협의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기밀유지 협약에 따라 가격에 대해서는 말할 수 없다. 치료제별로 가격이 다르게 책정될 것"이라면서도 "해외 항체 치료제 가격도 400~500만원을 호가한다. 먹는 치료제 가격이 특별히 높은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정부는 치료제의 단가, 물량, 품목 등 구체적 내역에 관해 '아직 결정된 바 없다'는 비공개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관련기사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