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사회일반

"학생부 신뢰도 높이자"…고교-대학 1년간 원탁회의

등록 2019-02-12 17:08:11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교육부, 高 교사-大 입학사정관 원탁회의 추진

학생부 기재 개선방안 후속…매뉴얼 도출할 듯

'깜깜이 논란' 학종, 포폴 공개·단계별 평가 관심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지난해 7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19학년도 수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 학부모 등 일부 교육수요자들은 학생부종합전형 합격 자료 공개를 요구하고 있지만 대학들은 획일화 우려에 공개를 주저하고 있다. 2018. 07. 26. (뉴시스DB)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연희 구무서 기자 = 학생 평가 및 학교생활기록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고교 교사와 대학 입학사정관이 1년 내내 머리를 맞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빠르면 3월 말 또는 4월 초부터 연말까지 정기 회의를 열어 학생부 기재 및 활용 관련 논의 장을 마련하고 의견을 청취하기로 했다.

12일 교육부 등에 따르면 대학 입학사정관들과 고교 진로·진학교사 9명은 최근 세종 교육부 청사에 모여 이같은 내용을 논의했다. 아직 초기 논의 수준이지만 지역별로 순회하는 연중행사로, 원탁회의 방식을 유력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학생부 쓰는 사람·뽑는 사람 한 자리…'공정성 제고' 어디까지?

이번 회의는 교육부가 지난해 8월 정책숙의를 거쳐 발표한 2022학년도 학생부 기재 개선방안의 후속조치 성격이 짙다.

학생부 기재 개선방안은 ▲부모 정보 삭제 ▲수상경력은 학기당 1개 ▲자율동아리 학년당 1개 ▲소논문(R&E) 기재 금지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교육부는 개선안이 현장에 안착하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되도록 많은 현장 의견을 모아야 한다고 판단했다. 학생부를 기록하는 교사와, 그 학생부를 보고 학생을 선발하는 입학사정관의 토론장을 마련한 이유다.

더구나 원탁회의는 상석과 그렇지 않은 자리가 구분되지 않아, 서열에 관계 없이 협의하고, 이해관계 속 타협을 이끌어내기 위한 자리다. 즉 학생부 기재를 둘러싼 고교와 대학의 입장차를 줄여나가고, 향후 협의체계를 구축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섞였다.

첫 회의에서도 대학 입학사정관들은 지나치게 대학입시를 의식하기 보다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 기록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학생부를 기록하는 교사들은 학생들을 상위학교에 진학시키기 위해 고민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현장 의견 수렴을 위한 예산은 확보했으나 아직 논의 초기단계"라며 "특정 대책을 내놓기 위한 회의 성격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다만 다른 교육부 관계자는 보다 구체적인 학생부 기재 및 선발과정까지 세부 매뉴얼을 도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표했다. 결국 학생부 종합전형 개선을 위한 큰 담론까지 다룰 수밖에 없다는 예측이다.

실제 작년 8월 발표한 학종 공정성 개선을 위한 후속과제만 해도 ▲자기소개서 등 전형서류 개선 ▲대학입학 평가기준 및 사례 공개 ▲전형별 신입생 고교 유형·지역정보 공시 ▲다수 입학사정관 평가 의무화 ▲입학사정관 회피·제척 의무화 ▲대학별 대입전형 공정성 위원회에 외부위원 참여 ▲입시 부정·비리 시 학생 입학취소 법적 근거 마련 등 10가지에 달한다.

◇학종 선발 공정성…포트폴리오 공개 쟁점 되나

학종의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자 전형 결과 자료(포트폴리오)를 공개 여부가 쟁점으로 떠오르는 분위기다. 학생 선발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불가피하다는 학생과 학부모, 고교 교사들의 요구는 커지고 있지만, 다양한 학생을 선발해야 한다는 학종 취지를 무색하게 한다는 반대 입장도 만만치 않다.

현재 서울대는 지난 2014학년도부터 학생의 동의를 얻어 합격자 전형자료를 웹진 아로리에 공개하고 있다. 지난 한 해 동안 누적 클릭수가 10만건에 달한다.

서울대 관계자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참고용으로 만든 것인데 학부모와 교사들도 관심이 높다"며 "학종은 콘텐츠가 비슷하다고 같은 점수를 받는 전형이 아니다. 실제로 같은 서류를 준비해오는 학생도 없다"고 말했다.

다른 학교들은 편차가 큰 편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입시정보포털 '어디가'에도 대학별 학종 준비방법과 우수사례를 공개해 합격자의 내신성적, 교과·비교과 활동 내역, 자기소개서 요약 등 일부 자료를 제공한다.

문제는 이를 공개하는 대학 수나 우수사례 수 자체가 많지 않다는 점이다. 1~2명의 우수사례만 공개하고 있으며, 그나마 교과·비교과활동이나 내신성적 등에 한정돼, 합격과 불합격을 나누는 정성평가 기준을 적시한 핵심자료는 빠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학에서는 학종 합격생의 전형자료를 공개할 경우 획일화 문제를 우려하며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한국대학입학사정관협의회 김정현 회장(경상대 입학사정관팀장)은 "합격자 전형자료를 하나의 모델로 만들어 유사한 포트폴리오가 재생산되면 한 마디로 모든 학생들이 같은 포트폴리오로 획일화된다"며 "대학에서 공개하는 자료들이 사교육시장으로 흘러들어가 학교 밖에서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사교육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의 구본창 정책국장은 "합격 전형자료 공개에 명암이 있다"면서도 "샘플로 보여지는 자소서를 보다보면 자기 스스로 자소서를 작성했더라도 샘플 자소서를 기반으로 쓰게 돼 유사도 검색시스템에 걸릴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학부모 시민단체인 공정사회를위한국민모임 이종배 대표는 "지금도 학종을 대비한 사교육이 성행하고 있다"며 "합격과 불합격 기준에 대한 예측 가능성이 생길 수 있다. 채점기준은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진학지도협의회 최승후 정책국장(문산고 교사)은 "공개되는 자료가 소수라면 아이들이 그대로 따라하는 문제가 생기겠지만 대학마다 자료를 다 공개하면 모방의 문제가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관련기사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