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소·보건지소 근무 의사 1400명…10년 새 41% 급감
복지부 '보건소 및 보건진료소 운영현황'
[세종=뉴시스] 박영주 기자 = 보건소와 보건지소에서 근무하는 의사 수가 10년 만에 40%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보건복지부 '보건소 및 보건진료소 운영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에서 근무한 의사는 140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4년 2386명과 비교하면 41.3% 감소한 수준이다. 2023년 1660명과 비교해도 15.7% 쪼그라들었다. 보건소에서 근무한 의사(치과의사·한의사 제외)는 2014년 962명에서 지난해 627명으로, 보건지소와 보건진료소 의사는 1424명에서 773명으로 줄었다. 지난 기준 전국 보건소는 261개, 보건지소는 1337개, 보건진료소는 1865개였다. 의사 자격이 있는 남성이 현역병 대신 지역 보건의료 의사로 근무하게 되는 의사 공중보건의는 2014년 525명에서 지난해 239명으로 54.5%나 급감했다. 이에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공중보건의사 및 의무장교의 복무기간을 현역병 수준에 맞춰 단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공중보건의사(공보의)와 군의관(의무장교)은 3년(군사교육 포함 37~38개월)의 장기 복무를 해야 한다. 이는 최근 복무기간이 단축된 현역병(육군 18개월·해군 20개월·공군 21개월)과 비교할 때 2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공보의협은 복무기간을 24개월로 단축할 경우 공보의 지원율이 94.7%로 상승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