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취임 100일]⑥4명 낙마로 인사 검증 부실 문제 불거져 …"검증 시스템 강화할 것"
100일간 오광수·강선우·이진숙·강준욱 낙마낙마 사태로 이 대통령 국정지지율 하락하기도대통령실 "인사 검증, 갈수록 더 세게 할 것"
[서울=뉴시스]김경록 기자 = 인수위원회 없이 출범한 이재명 정부 100일간 인사 검증 부실 문제도 불거졌다. 낙마 사태까지 나오면서 대통령실은 검증 강화 방침도 밝혔다. 이재명 대통령 취임 후 임명했다가 논란 끝에 지명을 철회했거나 스스로 물러난 인사는 총 4명이다. 대통령실 참모 중에는 오광수 전 민정수석과 강준욱 전 국민통합비서관, 국무위원 후보자 중에는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전 교육부장관 후보자 등이다. 이 대통령 사법연수원 동기인 오 전 수석은 이재명 정부 첫 민정수석으로 발탁됐지만 임명 닷새 만인 6월 13일 민정수석에서 물러났다. 오 수석은 '차명 재산 의혹' 등으로 논란이 일자 물러났다. 지인에게 반환 각서를 받고 아내의 부동산을 차명 관리했다거나, 지인 명의로 저축은행에서 15억원대 차명 대출을 받았다는 등 의혹들이 연이어 터지며 오 수석은 사의를 표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대통령실은 인사 검증 실패라는 지적에 선을 그었으나, 인사검증 리스크는 또 불거졌다. 여가부 장관 후보자에 지명된 강선우 의원의 '보좌관 갑질'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대통령실 인사청문 TF를 맡았던 우상호 정무수석이 이때를 가장 힘들었던 시기 중 하나로 꼽을 정도로 파장이 컸다. 대통령실이 청문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하며 임명 강행 의지를 보이자 국정 지지율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는 등 여론은 더 악화했다. 논문 표절 등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하며 여론을 잠재우려 했지만 통하지 않았다. 결국 강 의원은 갑질 논란 제기 약 2주 만인 7월 23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며 자진 사퇴했다. 아울러 강준욱 전 국민통합비서관 논란도 제기됐다. 보수 진영 몫으로 임명된 강 전 비서관은 비상계엄 옹호, 위안부 강제동원 부정 등의 인식을 보인 저서와 과거 소셜미디어 글이 드러나며 여권 안팎에서 임명 철회 요구가 잇따랐다. 대통령실은 당초 임명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비쳤으나 강 전 비서관은 7월 22일 자진 사퇴했다. 국민통합비서관은 강 전 비서관 자진사퇴 후 50일째 공석이다. 이후 대통령실은 인사 검증 시스템 강화 방침을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조금 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후보를 찾기 위해 조금 더 철저한 노력을 해야 하지 않나 살펴볼 부분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인사 검증 절차에 조속함과 함께 엄정함을 조금 더 갖추겠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또 "혹여 눈높이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조금 더 절차적 완결성을 더 높여가겠다는 의미에서 비서실장 주재 인사위원회에서 강화 방안을 논의하겠다"고도 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달 13일 새 여가부·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알리며 "검증 절차는 하면 할수록 강화되고 있다"며 "논문 문제는 자료를 더 찾아보는데 집중하고, 특히 기고한 것들도 꼼꼼히 보는 것으로 검증의 강도든 업무의 강도든 더 세졌다고 말할 수 있겠다"고 밝혔다. 강 비서실장은 또 "인사는 제가 인사위원장으로서 각 수석의 의견도 경청하고 여러 가지를 종합해 적법한 절차대로 판단해 하고 있다"며 "적법한 절차와 시스템에 의해 인사 검증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