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정치일반

서울시의회 "소비쿠폰, 이번엔 추경으로 처리했지만 다시는 안 받아들여"

등록 2025-09-12 12:40:00   최종수정 2025-09-12 14:28:24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재석 72명 중 찬성 65명, 반대 1명, 기권 6명

"빚을 내고 이자까지 부담하는 이중고 겪어"

"전 국민 대상 정부 주도 사업은 국비로 해야"

"지자체에 부담 전가 예산 다신 안 받아들여"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이 27일 서울 중구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열린 제33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2025.08.2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산 등이 포함된 서울시 추가경정예산안이 12일 서울시의회를 통과했다. 시의회는 서울시가 이자비용 300억원을 떠안게 됐다고 비판했다.

시의회는 이날 오전 본회의에서 '서울특별시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재석 72명 중 찬성 65명, 반대 1명, 기권 6명으로 가결했다.

예산 규모는 2025년 기정 예산의 2.1%인 1조799억원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8988억원이 배정됐다. 국비는 5487억원, 시비 분담분은 3500억원이다. 시비 분담분은 지방채 발행을 통해 충당된다.

시내버스 재정지원에 1375억원, 기타 국고보조사업에 248억원이 배정됐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산이 통과됐지만 서울시의회는 불만을 숨기지 않았다.

황철규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은 "서울시는 전국에서 유일하게 지방비 분담률이 25%로 정해져 있어 재정 여건이 유사한 경기도와 비교해도 서울시와 25개 자치구가 부담해야 하는 지방비가 2293억원이나 더 많다"며 "그런데 중앙 정부는 이 비율을 일방적으로 정해 통보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방비를 분담할 수 밖에 없는 서울시는 지방채를 발행하고 법령을 준수하고자 다른 기금으로 재원을 옮겨가며 서울시가 분담해야 할 3500억원을 마련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황 위원장은 그러면서 "그동안 지방 재정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지방자치단체로 정부 주도 사업에 대한 재원 부담을 전가시키지 않겠다고 했던 정부의 약속은 이제 신뢰하기 어려운 상태이며 정치적 구호로만 들려온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추경 예산 중 3500억원은 서울시가 부득이하게 선택한 대안이지만 기금과 회계를 거쳐 2중, 3중으로 융자를 받아 연간 300억원에 이르는 이자 비용을 떠안게 됐다"며 "결국 민생 회복 소비 쿠폰을 위해 서울시는 빚을 내고 이자까지 부담하는 이중고를 겪게 된 것"이라고 짚었다.

황 위원장은 전액 국비로 추진됐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민생회복 소비쿠폰처럼 전국적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동시에 추진하는 정부 주도 사업은 전액 국비로 추진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이어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일시적인 매출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겠지만 경기를 부양하는 효과보다 화폐량을 늘려 인플레를 유발하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염려와 서울 시민 한 가족의 한 끼 식사비용을 지원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서울 시민의 안전과 시설 확충이 더 절실하다는 것에 유념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린다"고 말했다.

또 "전 국민에게 동시에 지원되는 현금성 지원보다는 디딤돌 소득처럼 취약 계층의 근로 의욕을 높이는 선별적 지원 정책이 상대적으로 가치 있게 지출되는 방법"이라고 언급했다.

황 위원장은 다시 지자체에 부담을 떠넘겨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예산 결산 위원장으로서 시민의 기대를 외면할 수 없어 이번만큼은 긴급 추경으로 처리했지만 앞으로는 지방 재정 자율성을 침해하고 지방자치단체에 무책임하게 재원을 부담하는 부담을 전가하는 이런 방식의 예산은 다시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의회 예결위는 서울시를 향해 소비쿠폰 사용 효과성을 분석하는 연구 용역을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