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아파트 월세, 자고나면 올라"…상승률 10년래 최고[월세시대 진입]②
1~9월 수도권 아파트 월세 6.27% 올라서울 7.25%, 경기 5.23%, 인천 7.8% 상승대출 규제에 월세화 가속…월세 비중 62.6%전세물건 부족 현상…전월세 가격 상승 전망
정부가 대출 문턱을 높이는 수요 억제 대책을 잇따라 내놓으면서 전세 물건이 줄고, 가격 상승 압력이 커지는 등 임대차 시장이 불안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9일 리얼하우스가 KB부동산 월간 시계열 자료를 집계한 결과에 따르면 1~9월 수도권 아파트 월세 상승률은 6.27%로 집계됐다. 이는 최근 10년내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25%, 경기 5.23%, 인천은 7.8%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전세 가격은 서울이 2.08%, 경기 0.99%, 인천 0.39% 올랐다. 수도권 월세가격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는 소폭 등락하다 임대차 3법이 시행된 2020년 1% 상승한 데 이어 2021년에는 4.26% 올랐다. 이어 ▲2022년 5.54% ▲2023년 5.25% ▲2024년에는 4.09% 상승했다. 9월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월세(보증금 제외 표본 가구 월세 기준)도 144만3000원(한국부동산원)으로 올랐다. 올해 1월 134만3000원보다 7.4% 상승한 것이다. 전세의 월세화가 가속화하면서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확대되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 통계에 따르면 올해 1~9월 전국 주택 월세거래 비중은 62.6%로 전년 동기 대비 5.2%포인트(p) 증가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 월세 비중은 43.7%에서 47.4%로 커졌고, 비아파트의 월세 비중은 69.7%에서 76.1%까지 확대됐다. 업계에서는 정부가 지난 6·27 대책과 9·7 대책을 통해 전세대출 규제에 나서자, 전세 대신 월세나 반전세 계약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이런 상황에서 10·15 대책에 따라 1주택자 전세대출에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적용되고,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임대 목적의 매입까지 막히면서 전세 물건이 줄고, 전월세 가격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부동산R114가 실시한 '2026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에서도 내년 월세가격 전망은 '상승' 응답이 60.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가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일까지 전국 14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월세 가격 상승 응답은 60.9%(888명)으로 하락 응답 5.3%(77명)보다 11.5배 더 많다. 전세가격 상승 응답은 57.8%(842명)으로, 하락 응답 9.3%(135명)보다 6.2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세물건 부족 현상들이 심화되는 것은 물론 대출규제 강화로 전세의 월세화가 동반되고 있어 신축 물건이 부족한 아파트 시장을 중심으로 전·월세 가격의 추세적 상승이 예상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