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증권

"비트코인 너 마저"…2억원의 꿈 멀어지나[코인, 기로에 서다①]

등록 2025-11-08 10:00:00   최종수정 2025-11-16 22:03:37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10만 달러 지지 깨며 하락…하방 지켰지만 난이도↑

美 셧다운에 유동성 경색 우려…금리인하도 불투명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5일 서울 강남구 업비트 고객센터에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 가격이 나오고 있다. 가상화폐 시가총액 1위 비트코인이 지난 6월 이후 처음으로 10만 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비트코인 가격이 10만 달러 아래로 떨어진 것은 미국이 이란 핵시설을 공격해 중동 긴장이 고조되고 있던 지난 6월 이후 처음이다. 2025.11.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디지털 금'으로 불리던 비트코인이 10만 달러라는 심리적 지지선마저 내주며 하락을 거듭하고 있다. 올해 수익률은 10%에도 미치지 못하면서 변동성은 높지만 수익률은 낮아 투자 매력도가 급감하는 모습이다.

8일 오전 9시 기준 비트코인은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빗썸에서 24시간 전보다 0.38% 떨어진 1억5247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달러 기준으로는 10만 달러를 겨우 유지하고 있다. 같은 시각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10만1731달러에 거래 중이다.

비트코인은 지난달 6일 12만6100달러를 넘어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하지만 지난 5일 10만 달러 지지선을 내줬다. 최고치 대비 20% 이상 하락한 수치로, 지난 6월 미국의 이란 공격으로 중동 긴장이 고조됐던 당시 이후 약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10만 달러를 회복했지만 상승 여력을 점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미 정부의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이 최장 기록을 경신하면서 유동성 경색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시장에 돈이 마를 수 있다는 공포가 확산하자 투자자들이 주식과 비트코인 등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도를 급격히 떨어뜨린 것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상황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을 사실상 소멸시키는 재료로 작용하고 있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여전한 상황에서 연준이 섣불리 금리를 내리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지속적인 달러 강세와 연말 연준의 불확실한 금리 전망도 가격 하락을 부채질한 것으로 풀이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업계 내부의 신뢰 위기까지 터져 나왔다.

지난달 10일(현지시간)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하루 만에 무려 190억달러(약 27조원)가 청산됐다. 투자자가 고수익을 얻기 위해 레버리지(차입) 투자를 할 때 냈던 증거금보다 손실이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청산이 이뤄진다.

가상자산은 전통 금융과 비교해 유동성은 적고 변동성이 커 작은 충격에도 청산이 이뤄지기 쉽다. 업계에서는 역대 최대 규모 손실에 국내 투자자들의 손실도 상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번 폭락 사태로 비트코인의 자산 성격이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른 것으로 보고 있다.

한때 디지털 금이라 불리며 인플레이션 헤지(위험 회피) 수단으로 주목 받았으나, 정작 거시 경제 위기 속에서 나스닥과 같은 기술주와 동조화 현상을 보이며 고위험 자산으로서의 특성만 명확히 드러냈다는 평가다.

다만 전문가들의 전망은 엇갈린다.

정확한 시장 예측으로 알려진 존 글로버 레든 최고투자책임자(CIO)는 비트코인이 10만5000달러를 무너뜨리며 2023년부터 유지해 온 강세장이 끝났다고 진단했다. 그는 최소 7만달러까지 비트코인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 예측하며 약세장이 내년말까지 계속될 것이라 봤다.

반면 10만 달러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시적 조정이라는 의견도 있다. JP모건 측은 비트코인이 금보다 저평가된 현 상황일 짚으면서 금과 비교해 최소 1년 내 17만 달러가 돼야 한다고 진단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