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대장동 항소 포기 대여 공세 고삐…'李 재판 재개' 촉구
내주 초 용산 대통령실서 현장 규탄대회 개최 검토앞서 대장동 현장·법무부·검찰·국회 등에서 규탄 집회항소 포기로 7800억원 범죄수익 환수 길 막혔다는 점 부각이재명 대통령·정성호 법무장관 향한 압박 이어갈 듯
[서울=뉴시스] 이승재 하지현 기자 = 국민의힘이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이후 대여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과 정성호 법무부 장관 등 윗선의 외압 의혹을 제기하면서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와 특검도 요구하고 있다. 나아가 이 대통령에 대한 재판 재개를 촉구하면서 탄핵까지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15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당 지도부는 이르면 내주 초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와 관련해 현장 규탄대회를 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장동혁 대표는 14일 대장동 개발 비리 사건 피해자인 성남도시개발공사에서 규탄 현장 간담회를 열고, 대장동 일대 건설 현장을 둘러보기도 했다. 장 대표는 "이 판의 최종 설계자는 분명하다. 이 대통령"이라며 "이 대통령이 설계하고 이 대통령이 지휘하고 이재명 정권이 외압을 행사해서 대장동 사건을 땅속 깊이 파묻어버리려 한 명실상부한 이재명 방탄 게이트"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노만석 검찰총장 대행은 뿌리다. 정성호 법무부 장관과 이진수 법무부 차관은 손발이다. 진짜 몸통은 이 대통령"이라고 했다. 앞서 지난 11일에는 대검찰청과 법무부를 연이어 찾아 국정조사 및 특검 추진과 정 장관의 사퇴 등을 요구하기도 했다. 12일에는 국회 본관 앞에서 당원들과 함께 대규모 규탄대회도 열었다. 장 대표는 당시 법무부 앞 현장 규탄대회에서 "시위소찬이라는 말이 있다. 공직자가 그 자리를 감당할 능력이 안 되면 아까운 국민 세금 그만 축내고 자리에서 내려오라는 말"이라고 했다. 송언석 원내대표도 정 장관을 향해 "범죄자들의 친구, 범죄자들의 깐부, 대장동 범죄 일당의 든든한 담벼락"이라고 했다. 지도부는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로 범죄 수익금으로 추정되는 7800억원도 환수할 수 없게 됐다는 점도 부각하고 있다. 앞서 검찰은 대장동 개발 비리 민간업자들의 범죄 수익을 7886억원으로 봤고, 1심 재판부는 이 가운데 473억원을 추징했다. 따라서 이번 항소 포기로 약 7400억원에 달하는 수익금을 이른바 '대장동 일당'이 가져가게 됐다는 게 국민의힘의 주장이다. 정상적으로 항소가 진행됐다면 이를 국고로 환수할 수 있었다는 뜻이다. 신상진 성남시장은 지난 13일 당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성남시와 성남도시개발공사는 항소 포기에 관련된 자들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고소·고발할 것"이라며 "범죄 수익자들이 1원도 못 가져가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지도부는 여당을 향해서도 국정조사와 특검 추진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국회에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항소 포기 외압 의혹까지 들여다봐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민의힘은 필요하다면 장외투쟁 카드도 꺼내들 수 있다는 분위기다. 다만 당내에선 장외투쟁에 대해서는 신중론도 존재한다. 앞서 당 지도부는 지난 9월 여권의 내란전담재판부 설치 추진과 조희대 대법원장 사퇴 요구, 이 대통령의 선출 권력 우위 발언 논란 등을 이유로 약 6년 만에 장외투쟁에 나선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