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세계 등불될 새로운 대한민국, 국제사회 완전 복귀 당당히 선언"
美 뉴욕 제80차 유엔총회서 7번째 기조연설자로 연단 올라"내란 맞선 빛의 혁명, 유엔정신의 성취 보여준 역사적 현장""韓 인권존중 가치 실현하며 국제사회 협력 강화하고 주도"
[뉴욕·서울=뉴시스]조재완 하지현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오늘 세계 평화와 인류 공영의 미래를 논의할 유엔총회에서, 세계 시민의 등불이 될 새로운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에 완전히 복귀했음을 당당히 선언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제80차 유엔총회에서 일곱번째 기조연설자로 연단에 올라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향한 여정을 함께할 모든 이들에게 '빛의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작가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에 실린 '당신이 나를 밝은 쪽으로, 빛이 비치는 쪽으로, 꽃이 피고있는 쪽으로 끌고 가기를 바랍니다'란 구절을 인용했다. 이 대통령은 '복귀 선언' 직후 박수가 나오자 발언을 잠시 멈춘 후 "감사하다"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누군가 유엔이 이룬 성취가 무엇인지 묻는다면, '대한민국의 80년 역사를 돌아보라', 이렇게 대답하겠다"라며 "대한민국은 그 자체로 유엔의 존재 가치를 증명해 온 나라"라고 했다. 지난 비상계엄 사태를 '친위 쿠데타'로 규정하고, 이를 극복한 민주주의 저력과 회복력을 전 세계와 공유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대통령은 "한때 민주주의와 평화가 위기에 처했지만, 대한민국은 그때마다 불굴의 저력으로 일어섰다"며 "친위 쿠데타로도 민주주의와 평화를 염원하는 대한국민들의 강렬한 의지를 결코 꺾을 수 없었다"고 했다. 이어 "지난 겨울 내란의 어둠에 맞서 대한민국 국민들이 이뤄낸 '빛의 혁명'은 유엔 정신의 빛나는 성취를 보여준 역사적 현장이었다"며 "대한민국이 보여준 놀라운 회복력과 민주주의의 저력은 대한민국의 것인 동시에, 전 세계인의 것이 될 것"이라고 했다. 기아와 분쟁, 기후위기 등 국제 사회가 직면한 난제들을 언급하며 해결 방법은 '더 많은 민주주의'와 '다자주의적 협력'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각국의 끊임없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계 평화와 안전 유지'라는 80년 전 국제사회의 결의와 염원은 아직 끝나지 않은 모두의 과제"라며 "대한민국 국민이 증명한 길에 답이 있다. 방법은 하나, 더 많은 민주주의"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국민주권정부는 집단 지성의 힘으로 더 나은 대안을 찾아내는 민주주의의 혁신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다"라며 "국제사회가 직면한 공동의 과제를 해결할 방법도 다르지 않다"고 했다. 그러면서 "같은 문제를 겪는 모든 국가가 이곳 유엔에 모여 함께 머리를 맞대는 다자주의적 협력을 이어 나갈 때, 우리 모두 평화와 번영의 밝은 미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유엔 전반의 개혁 프로그램인 '유엔 80 이니셔티브'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고, 한국이 안보리(안전보상이사회) 이사국으로서 국제평화·안보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도 천명했다. 민주주의 회복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할 선도국가 역할을 다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유엔이 표방하는 자유와 인권, 포용과 연대의 가치를 굳건히 수호하는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겠다"며 "대한민국은 인권 존중의 가치를 실현하면서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또 주도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인류 보편 가치에 대한 믿음이라는 유엔의 기본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라며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다자주의적 협력의 길, 민주 대한민국이 앞서가겠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