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건파' 삼각편대, 소통·협의 강조…검찰 인사로 밑그림[검찰개혁③]
정성호·봉욱·이진수…점진적 개혁 가능성지난 1일 고위 간부 인사…차기 총장 주목
이들은 '미완의 검찰 개혁 완수'라는 이 대통령의 의지를 실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형사사법 체계 대변혁이 공약과 법안으로 예고된 만큼, 잡음을 줄이고 개혁안을 안정적으로 정착시키는 것이 과제다. 7일 법조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개혁의 속도와 방향을 조율할 정 후보자와 봉 수석, 이 차관은 온건하고 합리적인 인사라는 평가를 받는다. 고강도 개혁과 속도가 강조되는 정치권, 개혁안과 입장 차가 큰 검찰 사이 가교 역할을 해줄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는 배경이다. 정 후보자는 이 대통령의 사법연수원 18기 동기로 38년간 인연을 이어오며 친명(친이재명)계 좌장으로 불린다. 국회 사법개혁특위 위원장, 형사사법체계개혁특위 위원장, 법제사법위원 등을 역임했다. 사법 개혁의 역사와 흐름, 이재명 정부의 개혁 기조 등을 잘 이해하는 인사라는 평가다. 합리적인 온건파 인사로도 분류된다. 봉 수석은 대검 정책기획과장과 공안기획관,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등 정책과 법무 기획을 두루 거치면서 검찰 제도에 대한 이해가 높다는 평가다. 조직 내 신망도 두터워 그가 직을 떠나며 작성한 내부망 글에는 구성원 수백 명이 댓글을 통해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봉 수석과 근무 인연이 있는 검찰 출신 변호사는 "검찰 개혁이라는 역할에 부담도 있었겠지만, 책임을 회피하지 않으려 한 것 같다"며 "아래위를 두루 챙기고, 무리하게 일을 하지 않는 스타일"이라고 평했다. 이 차관도 비교적 온화한 스타일로 평가된다. 한 인사는 "후배들이 실수를 해도 큰소리를 내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전했다. 법무부 법무심의관과 서울중앙지방검찰청 형사4부장, 서울북부지검장 등을 거쳐 검사 대다수가 근무하는 형사부의 고충도 잘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은 정부 검찰 개혁 기조와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정 후보자는 "수사·기소 분리, 검찰에 집중된 권한 재배분 등에 대한 문제는 국민적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이 차관도 "수사와 기소 분리의 방향으로 가야 된다는 점에 대해 공감한다"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답했다. 다만 속도전을 경계하고 소통과 논의, 국회 협의를 강조했다. 이 때문에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숙의를 거쳐 점진적 개혁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가 법조계에서는 나온다. 검찰 출신 변호사는 "검찰개혁이 정치적인 구호로 외쳐지는 면이 있는데 그나마 다행인 조합"이라며 "수사기관들이 난립했을 때 여러 문제점이 뒤따를 수밖에 없는데, 두 사람이 단기간에 성과를 내려고 하지 말고 정말 심사숙고를 해서 제대로 된 개혁에 일조를 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문재인 정부 법무부 검찰과장으로 직제 개편안에 관여했던 김태훈 서울고검 검사가 서울남부지검장으로, 검찰 개혁에 목소리를 높였던 임은정 대전지검 부장검사가 서울동부지검장으로 이동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도 조직 내 신망이 높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들은 취임 일성으로 검찰을 향한 비판에 답하기도 했다.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은 "개혁논의의 출발점이 된 우리의 검찰권 행사에 대해 스스로 솔직하게 되돌아보고 잘못된 것은 바로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훈 남부지검장과 임은정 동부지검장도 검찰 신뢰 회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심우정 전 검찰총장이 직을 내려놓으며 공석이 된 검찰총장 인사는 검찰 개혁 밑그림의 마지막 단계가 될 전망이다. 윤석열 정부에서 문 정부 인사로 분류돼 좌천되거나 조직을 떠났던 이들이 후보군에 거론된다. 차기 검찰총장은 개혁안에 대한 조직 내 우려를 대변하는 역할 등을 구성원들로부터 주문받을 것으로 보인다. 검찰 해체까지 거론되는 검찰 개혁 국면에서의 조직 안정화 역시 차기 검찰총장의 몫이다. 수장 자리에 어떤 인사가 앉느냐를 두고 개혁의 방향과 속도를 가늠할 수 있는 만큼, 안팎의 관심이 쏠린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