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특검, 드론사 전투발전과 소령 소환…'무인기 의혹' 조사
尹, 무인기 중소기업 우회 납품 과정 관여했나드론사, 합참 패싱·허위보고·GPS 조작 정황도
[서울=뉴시스]최서진 이태성 고재은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하는 내란 특검이 24일 드론작전사령부(드론사) 전투발전과 소속 관계자를 소환하며 북한 무인기 의혹에 대한 수사를 진행 중이다. 법조계에 따르면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이날 오후부터 드론사 전투발전과 소속 A소령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드론사 전투발전과는 무인기·드론 개발을 연구하고, 국방과학연구소(국과연)와 전력 확보를 위한 사업을 진행하는 등 대외 업무 등을 진행하는 부서다. 특검은 평양에서 추락한 무인기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지시로 우회 납품된 제품이라는 의혹에 대해 들여다보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이 2022년 12월 국과연 방문 당시 국내 모 중소기업 사의 제품을 찍어 북한에 보내라고 지시했고, 해당 기업 수주 실적이 부족하자 국과연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통해 우회 계약을 했다는 취지다. 특검은 A소령을 상대로 무인기 제작, 납품·입찰 과정 전반에 대한 조사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또 드론사가 추락 가능성을 알면서도 고의로 전단통을 달아 개조한 무인기를 띄워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려 했는지, 계엄 전인 지난해 10월과 11월 합동참모본부 지휘를 받아 무인기 여러 대를 북한에 보냈는지 등을 살펴보고 있다. 김용현 당시 경호처장이 무인기 작전 계획 단계인 지난해 5∼6월에 공식 지휘계통인 합동참모본부를 건너뛰고 김용대 드론사령관과 관련 보고를 주고받았다는 의혹도 제기된 상태다. 특검은 드론사가 지난해 10월 8∼9일 무인기 한 대를 분실한 것처럼 허위로 꾸미고, GPS 기록까지 조작한 정황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이와 관련해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을 지난 17일과 23일 피의자 신분으로 두 차례 소환하고, 드론사 산하 101·105대대 대대장 등도 비공개로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