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법 리스크 덜어낸 이재용, 콘트롤타워·M&A 구상은?
불확실성↑…콘트롤타워 재건 속도낼까미전실 주요 인물 배치 전망도로봇·전장 등서 M&A 추진 가능성
이 회장이 사법리스크를 던 만큼 트럼프 2기의 관세 부과와 메모리 경쟁력 하락 등 전사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콘트롤타워 부활 논의에 본격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들린다. 또 하만 이후 7년 간 답보 상태인 대형 M&A에도 과감히 나설 수 있다는 전망이다. 3일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을 비롯해 최지성 전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실장, 김종중 전 미전실 전략팀장, 장충기 전 미전실 차장 등 피고인 13명은 전날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부당합병과 회계부정 2심에서 모두 무죄를 선고 받았다. 이 회장은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무죄를 선고 받으면서 사실상 사법리스크의 부담을 덜게 됐다. 검찰이 상고해도 대법원에서는 법리 해석을 중점적으로 보는 만큼 2심 판결이 뒤집어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 회장은 지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줄곧 사법리스크에 발목을 잡혀 있었다. 국정농단 사건으로 미래전략실이 해체된 후 10년 가까이 그룹을 책임질 콘트롤타워는 부재했다. 재계에서는 이번 무죄 판결에 따라 그룹의 콘트롤타워 재건 논의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폭탄으로 공급망이 불안정해진데다 반도체 보조금 지급 또한 장담할 수 없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그룹의 구심점이 필요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조직개편에서 삼성글로벌리서치 내에 관계사의 컨설팅을 하는 경영진단실을 신설했다. 미전실 역할 일부가 회복되어 사실상 콘트롤타워 재건의 밑그림으로 평가 받았다. 삼성전자가 향후 이 조직의 기능과 권한을 확대해 콘트롤타워의 역할을 할 가능성이 있다. 또 새로운 콘트롤타워의 요직에 과거 '미래전략실'의 주요 인물들을 배치할 지 여부도 관심거리다. 이와 함께 대형 M&A 추진도 힘을 받을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7년 하만을 인수한 이후 대형 M&A를 멈추면서 새롭게 '캐시카우(현금창출원)' 역할을 할 신사업 발굴이 더딘 상태였다. 현재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로봇, 전장, 바이오 등 분야에서 M&A를 나설 가능성이 크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달 'CES 2025' 기자간담회에서 "M&A를 통해 기대 성장 동력에 계속 투자하고 있다"며 "로봇은 상당히 중요한 미래 성장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휴머노이드 개발 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추가 인수해 완전 자회사 편입에 나서는 등 M&A에 시동을 걸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이번 판결로 삼성은 이 회장 주도로 공격적인 조직 변화에 나설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