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피해 사고…서울YMCA "정부 합동조사 필요"
"피해확산하면서 우려 커져…과기정통부·개보위도 나서야"
서울YMCA 시민중계실은 9일 입장 자료를 통해 "피해 건수가 불과 며칠 만에 3배 가까이 폭증했다"며 "소비자 보호 조치와 정부 합동조사가 시급하다"고 밝혔다.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6일까지 경기 광명시 소하동과 하안동, 서울 금천구 등에 거주하는 KT 가입자 휴대전화에서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거나 교통카드 결제가 이뤄져 수십만원이 빠져 나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소액결제 피해자는 현재까지 74명, 피해금액은 4580만원 규모다. 피해자들은 상품권 구매 과정에서 인증문자를 받지 못했는데도 새벽 시간대 결제 한도가 상향되며 결제가 진행되는 공통적인 피해 정황을 호소했다. 이는 KT의 문자(SMS) 인증 체계가 우회되거나 가로채기 당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 통신사 내부 시스템 해킹, 유심(USIM) 복제, 심(SIM) 스와핑 등이 원인일 수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KT는 상품권 결제 한도를 일시 축소하는 정도의 조치를 취했으나, 서울YMCA는 '소극적 대응'이라고 비판했다. 현재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지만 서울YMCA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부처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과기정통부와 개보위 등 관계 부처가 소비자 보호조치와 원인 규명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KT의 가입자 피해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 피해자 구제 노력도 구체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해킹 사실 및 대응 방안에 대한 투명한 공개 ▲전체 고객을 대상으로 소액결제 임시 차단 기본 적용 ▲피해 접수 전담 콜센터 및 온라인 신고 채널 개설 ▲과기정통부·개보위·경찰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조사단 구성 등을 요구했다. 서울YMCA는 “이번 사건은 단순한 소규모 보안 사고가 아니라 국민 신뢰를 무너뜨리는 중대한 위협”이라며 “KT와 정부는 책임을 회피하지 말고 즉각적인 피해 확산 방지와 실효적 소비자 보호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