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경제일반

[美금리인상 D-3④]원자재값 추락 가속화…금리인상 속도 따라 '저유가 쇼크' 우려 커

등록 2015-12-13 09:40:48   최종수정 2016-12-28 16:03:37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associate_pic
금리인상 후 强달러 기조로 추가 유가하락 가능…산유국 부도 위기↑  달러화 강세는 곧 유가 하락?…"아닌 경우 종종 있어 장담할 수 없다"  금리인상 속도 높이면 '저유가 쇼크' 의한 세계 경제 불안 커질 수도

【서울=뉴시스】 한상연 기자 = 국제유가를 포함해 구리 등 원재가 가격이 연일 날개 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금리인상 후에는 현 수준보다 더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낳고 있다. 이미 글로벌 수요부족으로 심각한 경제 위기에 내몰린 원자재 수출 신흥국들은 더욱 어려운 상황에 빠져들 전망이다. 

 특히 유가의 방향성은 그간 미국 달러화 방향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여 왔던 터여서 금리인상 속도에 따라 저유가 쇼크로 인한 일부 국가 재정파탄, 뒤 이은 글로벌 경제 위기 발생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계속되는 달러화 강세(달러 환율 하락)로 많은 자산들이 달러 매입에 집중하게 되면서 원유를 포함한 원자재 시장에서 달러 유출이 심각한 수준으로 벌어져 왔는데 이런 추세가 장기화 될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미국 금리인상은 유가하락으로 재정 악화에 시달려온 산유국에 금리인상 압박까지 가해질 수 있어 금융시장 혼란을 더욱 부추질 가능성도 내재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만약 유가하락으로 인한 재정악화의 상황이 해소되지 않아 산유국 한두 곳에서 부도가 나게 될 경우에는 비슷한 처지에 있거나 한계 국가에 한해서는 도미노 효과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오고 있는 상태다.

 다만 산유국이 유가 급락에 따른 일시적 유동성 위기를 겪을 순 있겠지만, 부도 수준까지 내몰릴 경우 글로벌 경제 위기를 우려한 국제적 공조 움직임이 나타날 가능성이 큰 데다, 산유국들이 그간 축적해 온 자금으로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 등으로 최악의 국면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만만치 않다.

 아울러 기존까지 공식처럼 그려졌던 달러화 가치와 원유 간 반비례 그래프가 근래 들어서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종종 발견돼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추가적 유가 하락이 반드시 일어날 것이라고 장담할 순 없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감산 합의 실패로 인해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지난 12일 기준 배럴당 35.62달러까지 밀렸다. 북해산브렌트유는 금융위기가 발발한 2008년 12월 이후 7년 만에 최저치인 배럴당 37.91달러까지 내려앉았다.

 유가 하락의 주된 원인으로 꼽히는 게 공급 과잉이다. 최근 열린 국제석유기구(OPEC) 회의에서도 산유국 간 감산 논의가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 여기에 하락을 부추기는 또 다른 요인이 달러화 강세다. 미국 금리인상이 민감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정민 선임연구원은 "미국이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 달러화가 비싸지게 돼 달러화를 매입하려는 투기세력 많아지게 될 것이고 이 때문에 달러화 강세 추세가 나타나게 될 것"이라며 "이는 원자재 시장에서 달러가 빠져나간다는 증거이기에 유가가 추가로 하락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LG경제연구원 최문박 연구원 역시 "단기적인 측면에서는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달러화의 움직임이 유가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건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장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유가는 달러화 가치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어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

 결국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달러화 강세 기조가 유지될 가능성이 커 보이고 산유국들이 쉽게 감산하지 않을 것이란 추세적인 측면들로 인해 추가적인 유가 하락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associate_pic
 금리인상 시기에 앞서 공급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면 문제는 의외로 간단히 풀렸을 가능성도 있었다. 문제는 산유국들이 미국 금리인상으로 인한 자국 금리인상 압박이 강해질 수 있어 섣불리 감산하게 될 경우 더 큰 재정악화를 감내해야 할 지 모른다는 점이다.

 최 연구원은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글로벌 유동성이 줄어들게 되는데, 산유국 입장에서는 안 그래도 유가하락으로 인해 재정이 악화될대로 악화된 상황인 데다 금리 상승 압력까지 커지게 돼 이중고를 겪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정 연구원은 "산유국들이 감산을 해 공급량을 줄이게 되면 유가는 오르게 될 것"이라면서도 "그럼에도 감산을 할 수 없는 이유는 무리하게 감산할 경우 재정수입이 줄어들 것이 뻔할 테고, 최근 제재가 풀린 이란 같은 경우에는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기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리인상 후 달러화 가치가 상승하면서 추가적인 유가 하락을 부추길 가능성은 크다. 그런 상황으로 전개된다면 산유국의 부담이 커지게 되고 저유가로 인한 세계 경제 쇼크가 올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이런 비관적 관측으로 인해 산유국들의 부도 얘기까지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문제는 실제 산유국 중 어느 곳이라도 부도가 나게 될 경우 이를 계기로 세계 곳곳에서 연쇄적인 국가 부도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세계경제 위기까지 초래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라는 인식이 깔려있다.

 자본시장연구원 황세운 자본시장실장은 "만약 산유국 한두 군데서 부도가 일어나게 되면 글로벌 시장 전체의 유동성이 말라버리고 비슷한 한계국가나 자원 수출국들까지 줄줄이 부도나는 도미노 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로 인해 국제 자금 흐름에 마비가 오는 위기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황 실장은 "이런 상황이 벌어지게 된다면 국제통화기금(IMF)에서 자금을 지원하는 등 중간 개입이 일어날 것"이라며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랍에미리트 같은 산유국들은 국부펀드에 자금을 많이 축적해 왔기에 일시적인 유동성 경색을 방어할 힘을 갖추고 있어 최악의 상황까지 갈 것으로는 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산유국 부도 여부를 차치하더라도 현 시점에선 어떤 것도 단언하기 힘들다는 게 공통된 시각이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한 뒤 실제 달러화 강세가 이뤄질 것인지도 예측하기 쉽지 않을 뿐더러, 달러화와 유가 사이에 보였던 그간의 연계성이 그대로 재현될지도 과거 잣대로만으로는 판단할 수 없는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다.

 대개 달러화가 강세를 띨 경우 유가는 하방 압력을 받는 구조가 공식화 돼 있었던 게 사실이지만, 최근 들어서는 아닌 경우가 종종 관측되고 있다는 걸 무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정 연구원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달러화가 강세를 띠면 유가가 약세를 나타내는 사이클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라면서도 "지금은 원자재 가격과 달러화 가치가 같은 방향으로 갈 때도 있고 반대로 갈 때도 있어 유가의 방향성을 전망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차후 진행되는 상황은 지켜봐야 하겠지만, 간혹 미국이 금리인상 속도를 무리하게 낼 경우에는 최악의 상황까지 몰릴 수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확실히 짚고 넘어갔다.

 정 연구원은 마지막으로 "기준금리를 올린다는 건 시장의 기대감을 높이는 것이기에 속도가 너무 빠르게 되면 타격이 커질 것이다. 한 방향 쏠림현상이 나오게 되면 국제상품 시장이 상상 외로 불안해질 수 있을 것"이라며 "금리인상 속도에 따라 저유가 쇼크에 의한 세계경제 불안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