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마 덮친 시장④][기고]반복하는 전통시장 대형 화재, 이렇게 예방해야
도시지역이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주거·상업·공업·녹지지역을 포함한다. 도시지역은 인구집중으로 인해 도시화가 진행하면서 교통문제, 주택문제, 환경문제와 같은 여러 가지 도시 문제를 일으킨다. 과도한 도시화로 주택, 교통, 공공서비스 등 각종 시설이 부족해지고, 시가지의 무질서한 팽창으로 경지 잠식과 지가 상승을 초래하며, 환경 문제를 유발하기도 한다. 그러나 도시화는 이러한 문제들과 함께 우리가 생활하는 데 편리함을 가져온다. 도시화는 극장과 놀이공원 등 여가 시설들의 발달, 대형 종합시장 형성, 대형 할인점 등 상점과 큰 시장을 이끌고, 지하철, 버스 등의 대중교통 수단의 발달, 도로와 철도 등 교통시설의 발달을 유도한다. 이러한 생활 편의와 함께 또한 도시화는 새로운 형태의 방재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재난을 줄이기도 한다. 필자가 2012년 진행한 ‘한국에서의 재해 리스크 영향요인과 관리방안’ 연구에 따르면, 도시화는 자연재난의 피해를 줄이고, 'Determinants Analysis of Fire Risk in Korea' 연구에 따르면, 도시화가 화재 피해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가 살아가면서 이런 부분들을 느낄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도시화가 대형 화재 등을 100% 예방할 수 있는 방재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도시화는 건축물의 대형화, 복잡화, 노후화와 불법 건축물들의 발생을 유발하여 대형 화재를 발생시킨다. 국민안전처 화재통계연보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연평균 44,591 화재가 발생해서 336명의 사망자와 1,892명의 부상자, 3,299여 억 원의 피해를 발생시켰다. 2015년도의 발화요인 중, 부주의 화재유형은 52.9%(23,525건)를, 전기적 요인이 20.2%(8,980건)를, 기계적 요인이 10.1%(4,511건) 등을 차지하고 있다. 부주의 화재 유형으로는, 담배꽁초 방치가 29%(6,840건)로 가장 많았으며, 음식물 조리중 19%(4,515건), 쓰레기 소각 15%(3,441건), 불씨방치 12%(2,865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화재는 전통시장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전통시장은 입지적으로 편리하고 접근성이 양호한 곳에 형성되고, 다양한 업종이 상호 보완적인 상품으로 구성되어 일괄 구매가 가능하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지역경제와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어 지역민들 간의 만남과 교류의 장소, 의사소통의 장소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의 전통시장은 소화활동의 어려운 구조, 인화성이 높은 재고 보유, 노후화한 전기·가스·소방 시설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어 화재 사고에 더욱 취약하다. 최근 들어, 대구 서문시장 화재(2016.11.30), 여수수산 시장화재(2017.1.15), 인천 소래포구 화재(2017.1.15) 등이 발생했다. 인천 소래포구 화재는 2010년 1월11일에 이어, 2013년 2월13일 그리고 2017년 1월15일 다시 발생했다. 대구 서문시장 화재는 1951년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 크고 작은 화재가 17회 일어나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발생시켰다. 전통시장 화재는 그동안 지속해서 발생했고 앞으로도 발생할 여지를 안고 있다. 이러한 전통시장의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전통시장 영업 인가 시 또는 내부 구조 변경 시 상인들이 최소한의 소방안전 기준을 만족하도록 하고, 전통시장에 대한 정기적인 화재사고 안전진단 실시, 상인들에게 화재안전 교육을 실시해 상인들 스스로 화재 사고 위험성을 인식 할 수 있도록 하고, 예방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줘야 한다. 특히, 전통시장 화재예방을 포한한 화재 예방활동 중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다. 우리나라의 일반주택의 소화기 및 단독 경보형 감지기 설치 여부에 대해, 국민안전처에서 2016년12월5일부터 23일까지 3주간, 전국 시·도별 시·군·구 단위로 각급 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주택 거주 학생 6만8602명을 대상으로 학부모와 함께 설문조사 한 결과 소화기 및 단독 경보형 감지기가 설치돼 있다고 답한 학생은 29.53%(1만 9462명)에 그쳤다. 70% 이상의 일반주택은 소화기·경보기가 없어 화재 위험에 그대로 방치돼 있다는 것이다. 화재 예방은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히 필요한 것이다. 배천직 전국재해구호협회 박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