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참사' 특공대 연기 건의에도 진압 강행…강호순 물타기도
경찰, 안전장비 턱없이 부족한데 작전 개시실무자 "연기하자" 건의에 "겁먹었냐" 묵살불 났는데 소화기 교체도 못하고 2차 투입MB 청와대, 강호순 사건으로 국민 눈 돌리려
이 사건으로 철거민 5명과 경찰특공대원 1명이 사망하자 진상규명보다는 경찰 공권력 행사의 정당성을 홍보하기 위해 경찰을 조직적으로 움직이려 한 시도도 드러났다. 경찰청 인권침해사건 진상조사위원회는 5일 용산참사 사건에 대한 인권침해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진상조사위는 경찰청에 순직한 경찰특공대원과 사망한 철거민 등에게 사과할 것, 유사사건 재발방지 및 인권증진을 위한 제도 및 정책 개선 등을 권고했다. 용산참사 사건은 2009년 1월19일 철거민 32명이 용산 남일당 빌딩 옥상에 망루를 세우고 농성을 시작하자 이튿날 새벽 서울경찰청 경찰특공대가 강제 진압하는 과정에서 철거민과 경찰특공대원 6명이 숨지고 30명이 부상당한 사건이다 조사위는 당시 경찰이 철거민들과의 충분한 협상 노력 없이 진압작전을 개시했다고 판단했다. 특공대원은 철거민들이 농성을 시작한 지 25시간만인 20일 오전 6시30분께 옥상으로 투입됐다. 경찰 지휘부는 농성자들을 '범죄자', '꾼' 등으로 지칭하며 협상의 여지가 없는 진압의 대상으로만 바라보고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당초 세워진 작전계획에 따르면 우발상황을 대비한 안전장비로 300t급 크레인 2대와 에어매트 3개, 소방차 6대 등이 필요하다고 적시돼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100t 크레인 1대만 왔고 에어매트는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으며 고가사다리차와 유류화재 소화에 유용한 화학소방차는 현장에 오지도 않았다. 일반소방차 2대만 배치됐는데 작전을 세울 때 참고했던 2005년 오산세교지구 망루농성진압작전에서 소방차를 23대 배치했던 것과 비교할 때 크게 모자란 수치다. 이 같은 사실을 파악한 당시 경찰특공대 제대장이 "작전이 불가능하니 작전을 연기하자"고 건의했지만 서울청 경비계장은 "겁 먹어서 못 올라가는 것이냐"며 거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특공대가 옥상에 진입하자 농성자들이 화염병을 던지는 등 저항하는 과정에서 1차 화재가 발생했는데도 특공대원들은 소화기를 교체하지도 못한 채 2차 진압에 투입됐다. 조사위는 "진압작전계획상 안전 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고 1차 진입 후 유증기 등으로 화재발생 위험이 커졌는데도 경찰 지휘부는 작전의 일시중단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사건 발생 이후 경찰 조직을 동원해 여론을 조성하기도 했다. 전국 사이버수사요원 900명에게 1일 5건 이상의 반박글을 올리고 각종 여론조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지시했다. 경찰 내부 문건으로 확인된 바로는 1월24일 게시물과 댓글 약 740건, 여론조사와 투표 참여는 590여건이 이뤄졌다. 사건의 파장이 커지고 경찰 지휘부가 검찰에 기소될 위기에 처하자 다른 사건을 통해 물타기하려는 시도도 포착됐다. 당시 청와대 행정관은 경찰청 홍보담당관에게 강호순 연쇄살인사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라고 이메일을 보낸 사실이 확인됐다. 강호순은 장모 집에 불을 질러 장모와 아내를 살해한 이래 경기도 서남부 일대에서 7명의 여성을 연쇄납치해 살인한 혐의를 받았다. 강씨는 용산참사가 발생한 지 얼마 안 된 2009년 1월24일 검거됐는데, 다수 언론이 그 동안의 관행을 깨고 얼굴과 신상을 공개하는 이례적 상황을 연출했다. 조사위는 "순직한 경찰특공대원과 사망한 철거민들에게 사과하고 경찰이 조직적으로 여론을 조성하는 활동을 금지하라"며 "철거용역 현장에서 경찰력의 행사, 변사사건 처리 규칙과 경찰특공대 운영규칙 등을 개정하라"고 권고했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