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금융일반

돈 쏟아 붓는데…왜 체감 못할까[은행 사회공헌 1조 시대②]

등록 2024-06-09 10:00:00   최종수정 2024-06-11 10:08:13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천편일률적인 일회성 지원사업 반복, 입체적인 자립 도움 부족해

자영업자·취약계층 지원에 90% 쏠림, 환경보호 부문은 0.7% 그쳐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30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기후기술펀드 협약식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기념촬영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석용 농협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김성태 중소기업은행장, 김 위원장, 이재근 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허성무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 대표. (사진=금융위원회 제공) 2024.04.30.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이정필 기자 = 은행권이 해마다 1조원이 넘는 규모의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대중이 인식하는 효과는 높지 않은 실정이다. 매년 비슷한 사업이 반복되고 대상이 한정돼 은행별 특색이 부족하고 체감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의 연간 사회공헌 활동 금액은 성장 추이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016년 4002억원에서 2017년 7417억원, 2018년 9905억원으로 확대됐다.

2019년 1조1359억원으로 연간 1조원을 돌파한 뒤 2020년 1조929억원, 2021년 1조617억원 등 코로나 여파로 소폭 줄었지만 매년 1조원을 넘고 있다. 2022년에는 1조2380억원으로 성장한 데 이어 지난해는 32% 증가한 1조6349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지난해 활동 비중을 항목별로 보면 지역사회·공익 사업(61.9%)과 서민금융(28.1%)이 90%로 대부분을 차지한다. 소상공인·자영업자,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이 대다수다.

지역사회·공익 사업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신보·기보·지역신용보증재단 특별출연 ▲소외계층 지원 ▲사회복지시설과 자원봉사단체 지원 ▲금융소비자보호 등 공익 홍보 ▲사회 공익 행사와 캠페인 개최 ▲재해 구호 등으로 이뤄진다.

서민금융은 사업 지원을 위한 휴면예금·수표 출연과 서민금융진흥원·미소금융재단 특별출연, 신용회복위원회 예산지원과 기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 같은 활동은 전 은행권이 대동소이한 내용으로 소상공인·자영업자, 취약계층 지원이 대부분이다.

도움이 시급한 대상부터 지원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한편으로 천편일률적인 일회성 지원의 반복이라는 지적도 나오는 배경이다. 이에 금전적인 지원과 함께 취약계층이 점차 자립해나갈 수 있도록 입체적으로 돕는, 은행별 특성을 살린 사업이 요구되고 있다.

또 90%가 특정 대상에 쏠리다보니 보다 많은 계층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학술·교육은 4.7%, 메세나(문화·예술·체육)는 3.9% 수준에 그친다. 전 세계의 가장 시급한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된 환경 보호 부문은 0.7%에 불과하다.

은행이 고객의 이자로 막대한 수익을 벌어들이는 만큼 사회 환원 차원에서 교육과 메세나 등 대상을 보다 다양하게 넓히고, 환경 부문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커진다.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관련 조직을 강화해나갈 필요성도 제기된다. 주요 은행별 사회공헌 전담직원은 대부분 한 자릿수에 그치고 1명인 곳도 있다.

정승연 한국ESG기준원 선임연구원은 "금융사들은 유사한 사회공헌 활동을 많이 한다"며 "그 성과로 수혜자에게 어떤 편익이 어느 정도 돌아갔는지 세밀하게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공개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진단했다.

정 연구원은 "금융지주사들은 다른 업권에 비해 ESG 평가 대응을 오랜 기간 해왔다"며 "지속가능 보고서를 발간하면서 정보공개 수준도 높은 편"이라고 부연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고금리 이자장사나 불완전판매 등으로 은행의 전반적인 이미지가 깎이면서 사회공헌 부분도 여론의 평가가 내려가는 측면이 있는 것 같다"며 "경기 불황과 고물가 지속, 이와 연결된 저출산 문제 등에서 그동안 필요한 대상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해왔는지 면밀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