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관세 대책으로 일부 물량 생산지 이전 고려"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삼성전자가 미국 관세 정책과 관련해 "다수의 글로벌 생산 거점과 고객 관리 역량을 최대한 활용해 필요한 사항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대응 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30일 오전 올해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전화회의)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세부적으로 보면 모바일경험(MX) 사업은 반도체 등 관세 부과 가정시 주요 부품의 구매 가격 상승이 예상되기 때문에 플래그십 스마트폰과 프리미엄 신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수익성 확보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영상디스플레이(VD)와 생활가전(DA) 사업도 프리미엄 제품 확대를 추진한다. 필요 시에는 글로벌 제조 거점을 활용한 일부 물량 생산지 이전도 고려해 관세 영향 최소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미국 반도체 관세 정책의 향배를 면밀히 주시하면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응안을 지속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최근 관세 정책의 급변동, 주요국의 지정학적 갈등 등 불확실성으로 사업에 대한 영향을 정확히 예측하고 대책을 세우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경우 현재 4월 초 보과된 상호관세가 10% 보편관세를 제외하고 90일간 유예되고 있고, 반도체, 스마트폰, 태블릿 등 회사 주력 제품들이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된 대신 품목별 관세 조사가 진행 중이다. 삼성전자 측은 "향후 어떤 추가 상황이 발생할지 불확실하다"며 "주요국 통상 정책의 향배를 예의주시하면서 관련국들과 긴밀히 소통해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