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난 뚫어라]②만성 인력 부족에 기업 자구책 '계약학과'
기술 발전 한계 극복 위해 기업이 직접 인력 육성학계 "특정 기업 취업 목적 교육, 부적절" 논란도
[서울=뉴시스]동효정 기자 = 반도체·미래차·인공지능(AI) 등 국가 첨단 전략 산업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학 연계의 일종인 교내 '계약학과'가 대안으로 떠올랐다. 학계에서는 '특정 기업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은 부적절하다'는 논란도 있으나 인력 부족이 심각 수준에 이르자 대학에 반도체 관련 등 계약학과가 속속 설치되고 있다. 현재 기술 발전 한계에 봉착한 가장 큰 원인으로 '만성적인 인력난'이 꼽히자 기업이 직접 인력 육성에 직접 나선 것이다. 13일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등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제조사들과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 등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 부족한 인력은 1년에 3000여명 수준으로 파악된다. 협회는 향후 10년간 누적 부족 인력이 3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같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중견 반도체 장비 및 설계 업체들을 모두 더한 수치다. 업계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인력은 학부 졸업생(7000∼7500명)이다. 관련 학과 졸업생들은 석·박사 연구원을 돕고, 생산라인 관리 역할을 맡는다. 하지만 전국 대학에서 반도체를 전공한 학생은 한 해 300여 명에 불과하다. 계약학과를 포함해도 600여 명 수준이다. 현장 필요 인력의 90%가량인 6000여 명이 매년 부족하다는 추산이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배출되는 전문학사 이상 석·박사까지 기준을 확대해도 반도체 전공자는 한해 약 2000명으로 추산된다. 기업과 채용조건을 협약한 4년제 일반대학 반도체 계약학과와 전문대학 이상 반도체 직접 관련 학과의 정원내·외 인원까지 모두 합한 추계다. 이에 정부는 기획재정부,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5개 부처가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 육성에 나서기로 했으나 장기간 시간과 비용 투자가 필요한만큼 기업들은 계약학과를 통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계약학과는 졸업 후 채용을 조건으로 기업이 대학과 협약을 맺은 뒤 학비 등을 제공하고 입학생을 모집하는 학부 과정이다. 2023학년도 기준으로 반도체 계약학과의 경우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삼성전자) 50명, 고려대 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 30명,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삼성전자) 70명,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 30명, 한양대 반도체공학과(SK하이닉스) 40명, 경북 포항공과대 반도체공학과(삼성전자) 40명, 한국과학기술원 반도체시스템공학과(삼성전자) 100명을 선발한다. 계약학과 외에도 국민대 전자공학부(지능형반도체융합전자전공) 95명, 동국대 물리반도체과학부 65명, 세종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63명 등 전국 28개 대학에서 총 1382명의 신입생을 모집한다. 교수들의 강한 반발로 설립이 무산된 서울대도 3년 만에 '반도체 계약학과' 신설을 위한 학내 논의에 돌입했다.
계약학과 확대에도 관련 업계는 계약학과 자체가 정원 외 선발인 만큼 소수 인원만 육성이 가능해 대대적인 인력 양성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 전문 인력을 대기업에서 확보해도 강소기업은 여전히 인력난에 시달리기 때문에 산업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에서는 강소기업 육성이 필수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시장을 이끌기 위해서는 국내 기술력을 바탕으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강소기업이 뒷받침 돼야하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충분한 인력 배출을 통해 대기업과 강소기업에 고루 인재가 분포되려면 상당히 긴 시간이 소요되고 투자 비용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라며 "기업의 장기적 투자와 정부 차원의 관련 정책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