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국제일반

서머스 전 美재무 "트럼프 관세 자해 행위…인플레 1% 오를 수도"(종합)

등록 2025-02-03 06:22:33   최종수정 2025-02-03 06:52:23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트럼프의 관세 정책 납득하기 어렵고 위험"

"우리와 가까운 동맹 시진핑 품으로 밀어내"

associate_pic
[다보스=AP/뉴시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1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등에 보편 관세 부과를 시작하는 방안을 확정한 것에 대해 "납득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사진은 서머스 전 재무장관이 2017년 1월 18일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발언하는 모습. 2025.02.03.
[서울=뉴시스] 권성근 기자 =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은 2일(현지 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최대 교역국이자 동맹국인 캐나다, 멕시코 등에 보편 관세 부과를 결정하며 자국 중심의 관세 정책을 펼치는 데 대해 미국 경제에 '자해 행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비판했다.

하버드대 교수로 재직 중인 서머스 전 장관은 이날 CNN과의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을 낮추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향후 9개월간 인플레이션이 1%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운동장이나 국제 관계에서 약자를 괴롭히는 것은 승리하는 전략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서머스 전 장관은 "우리는 가까운 동맹국들을 중국의 지도자 시진핑 (국가주석) 품으로 밀어내고 있다"며 "우리가 설정한 모든 국제 규범을 위반하면 그의 행위가 정당화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시 주석이 승자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앞서 서머스 전 장관은 엑스(X.옛 트위터)에 "오늘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취한 조치는 납득하기 어렵고 위험하다"며 "이는 자동차, 휘발유 및 미국인들이 구매하는 모든 종류의 상품 가격 상승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서머스 전 장관은 "관세 부과에 우리 동맹국들도 대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그들은 우리의 경제적 고통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서머스 전 장관은 "멕시코 경제가 불안정해지면서 이주민들이 남부 국경으로 몰릴 수도 있다"고 했다.

그는 빌 클린턴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재무장관을 지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자택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산 모든 수입품에 각각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associate_pic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서 오는 모든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1일(현지 시간) 캐나다 오타와의 한 호텔 외부에 성조기와 캐나다 국기가 함께 걸려있는 모습. 2025.02.02.
이번 관세는 오는 4일 오전 0시1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다만 캐나다산 에너지 자원에 대해선 25%가 아니라 10%의 추가 관세만 적용한다고 명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들 국가를 상대로 보편 관세 부과 절차에 들어가자, 상대국들도 보복을 선언했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1일 밤 긴급 기자회견에서 캐나다가 1550억 달러(226조365억원) 상당의 미국 상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맞불을 놓았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이날 엑스에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처를 포함, 플랜B를 이행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미국, 캐나다, 멕시코는 자유무역협정 체결국으로 지금까지 3국 간 무역에 관한 관세는 거의 없었다.

중국 정부는 "미국의 일방적인 추가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했다"며 WTO에 제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