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경제일반

"당장 괜찮아 보여도 2차 피해"…치솟는 환율에 건설업계 '시름'[건설 후방산업 휘청]①

등록 2025-04-19 06:00:00   최종수정 2025-04-21 10:25:56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해외사업 환차익 이점 있지만 차입 이자 부담↑

수입 의존도 3.4% 낮은 편…철근 등 수입 의존

고환율 → 공사비 상승 → 분양가 상승 → 미분양

"보호 무역 수급 불안정 우려도…모니터링해야"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24일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공사 현장에 타워크레인이 설치돼있다.2024.06.2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정진형 기자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브렉시트 학습효과가 있어서 웬만한 해외사업은 환 헤지를 하기에 고환율에 당장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 하지만 장기간 누적되면 공사비로 간접 충격이 올 수밖에 없다."

미·중 관세전쟁에 따른 고환율 리스크에 대한 한 건설사 관계자의 말이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에 자리 잡는 가운데 고환율이 장기화될 경우 이미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건설업계에 공사비 상승 이중고까지 덮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고환율 리스크에 대한 건설사들의 손익계산은 해외 사업 비중에 따라 엇갈리는 모습이다. 해외 건설 사업이 많은 경우 공사대금을 수령하는 과정에서 환차익 이득을 볼 수 있지만, 반대로 해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차입금 이자 부담도 늘어나게 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업의 경우 국내 비중이 높고 원자재를 직접 수입하는 게 아니어서 당장 큰 영향이 있진 않다"며 "해외사업의 경우 고환율은 득실이 모두 있어서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 환 헤지를 통해 이 범위 안에서 손실을 상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건설산업의 수입 의존도는 타 산업에 비해 낮은 수준이어서 직접적인 비용 상승 압력은 크지 않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을 보면 건설업의 수입 의존도는 3.4%로 농림어업(3.3%), 서비스업 등(4.1%)과 비슷한 수준이다. 에너지와 원자재 수입 비중이 큰 전기·가스·수도·하수 산업(25.4%), 광업·제조업(19.2%)에 비해선 수입 의존도가 낮은 셈이다.

수입 의존도를 고려하면 환율이 10% 오르면 건설업에는 1차적으로 0.34% 정도의 비용 상승 압력이 작용한다는 게 건산연의 계산이다.

하지만 다른 산업이 환율이 오른 영향으로 비용이 증가하면 건설업도 2차적인 영향을 피하기 어렵다. 건설업의 국산 중간투입 품목의 산업별 수입 의존도를 대입하면, 환율이 10% 상승하면 다른 산업 비용 증가로 인한 건설업의 2차적인 비용 상승 압력은 0.52%인 것으로 계산된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2020년 실측표를 기준으로 보면 건자재 중 고환율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품목은 수입 철근·봉강으로, 수입액은 9000억원, 수입 의존도 15%였다. 이어 석제품이 5500억원으로 31.2%, 합판이 5300억원으로 39.6%의 수입 의존도를 보였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환율급등에 따른 건설공사비 영향 점검' 보고서에서도 고환율이 수입 물가를 자극해 자재 가격을 올리고, 공사비 상승을 야기하는 연결고리를 지적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선출된 지난해 11월부터 환율이 본격적으로 상승하면서 수입 자재 상승률이 높아졌다. 건설용 중간재 수입물가(전년동월비)는 2024년 11월 6.0%, 12월 9.2%, 올해 1월 8.6%, 2월 6.9%로 오름세를 이어갔다.

건자잿값 부담에 높아진 공사비가 고분양가로 이어지면 미분양 위험이 커지고, 이에 따라 민간 주택시장이 침체돼 건설업이 위축되는 악순환으로 번질 수도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4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2.2포인트(p) 오른 105.1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정치적 불확실성과 미국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이 물가와 환율 상승을 유발해 수입 원자재 가격을 상승시킬 것이라는 우려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박선구 건정연 연구위원은 "건설자재는 공사비에서 30% 이상을 차지하고 시설물의 품질과 안전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문"이라며 "환율 급등에 따른 자잿값 상승뿐만 아니라 보호무역 기조에 의한 수급 불안정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는바 자재시장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가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