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직장인 여름휴가 트렌드는 '짧고 가깝게'
26일 나우앤서베이가 내놓은 2025년 직장인 여름휴가 계획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8.9%가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고 답했다. 조사는 지난 18일부터 22일까지 전국 직장인 1000명(남자 613명·여자 387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휴가 기간은 '3~4일'이 54.2%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5~7일'이 26.4%, '1~2일'이 14.2%, '8일 이상'이 5.2%를 기록했다. 긴 휴가보다는 짧고 효율적인 일정이 직장인들의 주요 선택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휴가 방식에서는 국내여행이 69.6%로 가장 많았고, 해외여행은 19.1%로 뒤를 이었다. 집에서 보내는 휴식인 홈캉스가 6.1%, 가족·친지 방문이 3.0%를 차지했다. 워케이션(0.9%), 디지털 디톡스(0.3%), 자기계발(0.1%)도 소수지만 응답에 포함됐다. 해외여행을 계획한 응답자 중에선 연령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20대가 30.8%로 가장 높았고, 30대 22.2%, 40대 21.4%, 50대 13.3%, 60대 이상 10.8% 순이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해외여행 선호도가 높았다. 해외여행지로는 일본이 34.7%로 가장 인기가 높았고, 동남아시아가 29.4%로 뒤를 이었다. 이어 중국·홍콩·대만이 10.6%, 북미가 7.1%, 서유럽이 5.9%, 오세아니아가 5.3%로 나타났다. 해외여행 시 우려되는 점으로는 안전 문제가 47.6%로 가장 높았다. 항공료 및 숙박비 부담이 38.8%, 환율 변동으로 인한 비용 증가가 35.3%, 항공 사고 우려가 30.6%, 언어 소통 문제가 26.5%, 의료 서비스 접근성이 18.2%로 조사됐다. 여름휴가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휴식과 힐링이 46.4%로 가장 많았고, 자연과 경치가 41.2%, 맛집 탐방이 37.4%, 숙소의 쾌적함이 35.9%를 기록했다. 한편, 휴가 계획이 없는 응답자 111명에게 이유를 물은 결과, 휴가철 혼잡을 피하기 위해서가 24.3%, 재정적 여유 부족이 23.4%, 여름휴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가 18.9%로 나타났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