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산업/ESG

韓 전기차 위기…결국 '품질·서비스'에 달렸다[미중 전기차 갈등②]

등록 2024-05-19 08:31:00   최종수정 2024-05-21 09:55:45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지난 2022년 10월 25일(현지시각) 미국 조지아주 브라이언 카운티에서 열린 현대차그룹 미국 전기차 전용공장 기공식에서 조지아 지역주민들이 전시 차량을 관람하며 행사를 즐기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2022.10.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하고 추가 제재로 시사했지만, 당장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다. 아직 미국에 진출한 중국산 전기차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문제는 중국 업체가 아닌 한국 자동차와 배터리 산업에서 나올 수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갈등 사이에서 한국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이항구 자동차융합기술원장은 "앞으로 미국과 유럽을 뺀 나머지 시장에서 중국 전기차와 한국 전기차의 경쟁이 더 치열해질 수 있다"며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테슬라처럼 고급차에서 보급형까지 모두 보유하게 되면 (한국 전기차가) 신흥시장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철완 서정대 자동차학과 교수도 "중국 업체들이 향후 미국에 생산기지를 만드는 등의 방법으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무력화할 수 있다"며 "테슬라조차 중국산 전기차와 경쟁이 안돼 결국 로보택시로 (승부를 보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호무역과 자국 우선주의가 계속 강해지는 흐름이 국내 산업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특히 국내 자동차 부품 업체들의 피해가 예상된다. 무역 장벽을 피해 현지에 진출할 여력이 있는 대기업과 달리, 중소 규모 부품 업체들은 당장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실정이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수출을 통해 먹거리를 만드는 국가에서 보호무역이나 자국 우선주의가 반복되면 유탄을 맞을 수 있다"며 "정부나 기업이 플랜B, 플랜C 등의 대책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으면 지대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한국 자동차와 부품 업계가 위기를 극복하려면 결국 품질과 서비스 수준을 고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는다. 단순히 하드웨어만으로는 중국과의 경쟁에서 이길 수 없고, 미국 무역 장벽도 넘을 수 없다는 것이다.

박철완 교수는 "한국 전기차의 상품성은 좋지만, 가격 경쟁력에 있어서 중국 전기차를 압도하기가 쉽지 않다"며 "우리도 테슬라처럼 단지 차(하드웨어)만 판다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차별화한 전기차·배터리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항구 원장도 "현대차그룹은 이미 하드웨어보다 소프트 파워를 중시하는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가 되겠다고 선언했다"며 "지금부터 위기관리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잘 짜야 한다"고 했다.

이어 "단순히 중국산 전기차가 불리하게 됐으니 우리에게 호재라고 해석해서는 안 된다"며 "산업통상자원부와 고용노동부 등 관련 부처와 완성차 업계가 모두 모여 중국 전기차 급부상과 보호무역에 따른 대응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