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사회일반

구제역 인체감염 사례 있지만 가능성은 '희박'

등록 2017-02-07 17:03:48   최종수정 2017-02-13 10:45:26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associate_pic
【대전=뉴시스】함형서 기자 = 지난 5일 충북 보은군 의 한 젖소 농장에서 올들어 처음으로 구제역이 발생한 가운데 6일 오후 대전 서구 원정동의 축산농가에서 대전축협 방역 관계자들이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2017.01.06.

[email protected]
살균되지 않은 젖소 원유 마시거나 호흡기 통한 감염 추정
 구제역 바이러스 열에 취약…50℃이상 30분이상 가열시 사멸
 바이러스 주입했지만 구제역 안 걸렸다는 해외연구결과도 있어
 보건당국 "사람에 非전파...손씻기 등 예방수칙 잘 지키면 안전"

【세종=뉴시스】이인준 기자 = 전국을 뒤덮었던 조류인플루엔자(AI) 악몽이 잦아들자 이번엔 구제역이 농심을 애타게 하고 있다.

 구제역(口蹄疫)은 소, 돼지 등 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이 바이러스에 전염되는 가축전염병으로 치사율이 5~55%에 달한다.

 다행히 인수공통전염병인 AI와 달리 다른 동물이나 사람에게 전파 가능성은 극히 낮은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감염동물을 매개로 한 인체 감염 사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7일 보건당국 등에 따르면 문헌상 인간 구제역 감염 첫 의심사례는 1695년으로, 1921년부터 1969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40건 정도의 구제역 인체 감염이 확진된 것으로 알려졌다.

 감염경로는 소에서 짠 살균되지 않은 원유를 마시거나 일부는 호흡기를 통해 감염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증상은 구제역에 감염된 동물과 마찬가지로 손에 물집이 생기거나 입 주변, 혀 등에 물집이 생기는 등 수족구병과 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통, 발열 등이 동반하기로 한다.

 하지만 그동안 인체 감염 의심사례 모두 특별한 치료 없이 저절로 호전돼 위험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 때문에 구제역은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이다.

 보건 관련 국제기구들도 구제역의 인수공통전염병으로 분류하지 않고 있으며 그동안 국내에서도 2000년 이후 수차례 국내 가축농가에서 구제역이 발생했음에도 인체 감염은 한 건도 없었다.

 해외에서 진행된 일부 연구에서는 사람에게 구제역 바이러스를 주입했음에도 구제역에 걸리지 않았다는 결과도 있다.

 오히려 사람이 구제역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매개물이 될 가능성마저 있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인간의 코에서 24시간 또는 최대 3일까지도 생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인간 소변이나 대변에서 확인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만일 구제역에 걸린 가축을 먹더라도 현재까지는 사람에 영향이 없다는 게 보건당국의 설명이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축산물의 유통이 제한되는 등의 조치가 이뤄지는데다 구제역 바이러스는 열에 약해 50℃ 이상에서 30분이상 가열하면 사멸하기 때문에 날고기를 먹지 않고, 익혀 먹으면 문제의 소지가 없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구제역은 사람에게 전파되지 않는다는 것이 의료계의 공통된 의견"이라며 "오히려 가축의 사체를 통해 세균이나 브루셀라 등 인수공통감염병이 전파될 가능성에 대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일반인의 경우 손씻기 등 예방수칙만 주의해도 전혀 걱정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