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미투 불길 1년, 공연계는 어떻게 달라졌나
◇연극계, 구조적 문제 노출 공연계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서 가장 큰 미투 직격탄을 맞은 분야는 연극이다. 단원들을 상습 성추행한 혐의 등으로 실형을 선고 받은 이윤택(67) 전 연희단거리패 예술감독을 비롯, 연극계의 고발이 쏟아지자 곪은 것이 터졌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 전 감독에 대한 판결은 미투 운동으로 고발된 사건 중 첫 실형 사례다. 미투 운동의 진앙지인 연극계의 취약한 구조를 감안한 판결이라고 연극계는 보고 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한국 연극계를 대표하는 작가와 연출자로 큰 명성을 누렸고 단원들뿐만 아니라 연극계 전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며 "이 사건 피해자들 대부분이 별다른 사회경험도 없이 오로지 연극인의 꿈을 이루기 위해 피고인 지시에 순응했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권력구조로 인한 불공정한 계약 관행, 인권 침해 등 부당 노동행위가 쌓여 예술계 성폭력을 조장했다는 것이다.
극단을 좌지우지하는 자가 일자리를 빌미로 한 성폭력을 가능케 하는 구조다. 특히 이 전 감독이 이끈 연희단거리패 같은 극단 체제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젊은 단원들이 단체에 만연한 악습에도 불구, 쉽게 벗어날 수 없게끔 한다. 사실상 저임금을 강요받는 '열정페이'가 난무한다. 공연계 관계자는 "연기지망생이 갈수록 늘어나는데 웬만한 소속사에 들어갈 수 인원은 한정돼 있다"면서 "쉽게 문을 두드리는 것이 극단인데, 열악한 극단에서는 처음부터 '을'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짚었다. 이 전 감독 같이 몇몇 권력자가 연극판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휘두를 수 있었던 까닭은 시장 규모가 작기 때문이기도 하다. 연극계는 불투명한 구조 탓에 정확한 시장규모를 가늠할 수 없다. 관객수, 티켓 판매량 등 공연시장에 믿을 만한 데이터를 구축해주리라는 기대를 모은 공연계 통합전산망의 본격적인 구축은 지지부진하다. 공연계의 산업화는 여전히 요원하다. 이 전 감독에게 실형은 마땅하다는 연극 기획자는 "전문가들조차 대학로에 극단이 얼마나 있는지 알 수 없다"면서 "시장 규모가 작다 보니 일반사람이 큰 관심을 갖지 않고 있다. 이윤택보다 덜 유명한 사람이 미투 대상자였으면 공론화도도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전 감독은 항소심에서도 혐의를 부인하고 있다.
미투 직후 공연계에서는 성추문에 휩쓸린 가해자들이 배우나 스태프로 참여하는 공연들에 대한 관객들의 보이콧 움직임이 일었다. 연극·뮤지컬 관객이 중심이 된 '연극·뮤지컬관객 #위드유' 측은 공연계 성지인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미투를 응원하는 집회를 열기도 했다. 성추문 피해자들에게 공감하고 함께 하겠다는 뜻을 담은 '위드유'(#With You·당신과 함께 하겠다) 운동도 폈다. 이런 운동에 힘 입어 작년에는 여성 관객이 많은 뮤지컬에서 페미니즘 열풍이 불었다. 여성 혐오에 맞서 문제의식을 갖춘 작품들이 여러 편 공연했다. 재작년 공연에서도 크게 주목 받은 창작뮤지컬 '레드북'은 미투 바람을 타고 지난해 초 다시 무대에 올랐다. 신사의 나라 영국, 그 중에서도 가장 보수적이라는 평가를 받는 빅토리아 시대를 살아가는 '안나'라는 기념비적인 여성 캐릭터로 호응을 얻었다. 스페인 시인 겸 극작가 페데리코 가르시아 로르카의 희곡을 바탕으로 한 미국 뮤지컬 작곡가 겸 극작가 마이클 존 라키우사의 '베르나르다 알바'는 40대부터 20대까지 각 세대를 대표하는 여배우 10명으로만 출연진을 꾸려 작은 돌풍을 일으켰다.
연극계는 성폭력을 예방하고 교육하기 위한 책을 최근 펴냈다. 성폭력반대연극인행동은 서울연극센터와 대학로 연습실 등지에서 '불편한 연극'을 배포하고 있다.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거나 활동하는 이들을 위해 우편으로도 보낸다. 지역 예술 학교와 관련 학과, 극단, 연극 단체 위주로 나눠준다. 공연계 연출가의 상당수는 남자다. 이런 구조를 바꾸지 않는 한 여자 배우나 스태프가 권력 관계에서 취약한 상황에 지속해서 처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런 흐름을 깨트리려는 노력도 있다. 서울문화재단이 운영하는 남산예술센터는 올해 시즌 프로그램으로 선보이는 연극 6편의 연출 성비를 3대 3으로 맞췄다. 미투 이후 고민을 반영했다. 특히 춘추전국시대 사상가 묵자와 초혜황이 모의전을 했다는 일화를 바탕으로 삼은 서민준 원작 '묵적지수'는 연출자로 남성을 떠올리기 쉬운데 여성 연출가인 이래은이 맡는다. 펄떡이는 소녀들의 생존기인 연극 '고등어'로 주목 받은 연출가다. 우연 남산예술센터 극장장은 "여성 연출이 갖고 있는 남다른 시각을 기대한다"고 했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