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극한 대치 속 '화합형 총리' 발탁…文 집권 후반 '협치' 방점
文 "정세균, 고마운 결단…협치 높게 평가해 모셨다"인선 시기·배경에는 국회 패스트트랙 국면도 영향
국회 패스트트랙 국면에서 촉발된 여야 극한 대치 상황을 풀어나갈 적임자라는 판단과 함께, 집권 후반기 국정 운영에서 '협치'에 보다 무게를 싣겠다는 의지로도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17일 춘추관을 직접 찾아 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 인선 배경을 설명한 뒤 청와대 참모진들과 춘추관 대기실로 이동해 간단한 대화를 나눴다고 윤도한 국민소통수석은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정 후보자가 고마운 결단을 했다"며 "국회의장으로서 여야를 운영해왔던 경험과 협치의 능력 등을 높게 평가하고 그래서 비상한 각오로 모셨다"고 말했다. 입법부 전직 수장이 행정부 2인자 자리로 옮기는 데 대해 삼권분립의 정신에 위배된다는 비판 여론을 인식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협치의 중요성 때문에 정 후보자를 모시게됐다는 게 문 대통령의 설명이다. 문 대통령은 발표문에서도 "저는 입법부 수장을 지내신 분을 국무총리로 모시는데 주저함이 있었다"며 "그러나 갈등과 분열의 정치가 극심한 이 시기에 야당을 존중하고 협치하면서 국민의 통합과 화합을 이끌 수 있는 능력이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총선을 앞두고 여야 대치 국면이 거세지고, 잇따라 민생 입법을 포함해 정책 추진에 차질을 받게 되면서 문 대통령은 여야 관계는 물론 협치의 중요성을 크게 실감한 바 있다. 이 때문에 20대 전반기 국회를 무난하게 이끈 전직 의장 등용을 통해 대여(對與)는 물론 대야(對野)로까지 소통의 활로를 넓혀보겠다는 의지가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정 후보자는 여야 관계에 있어서 두루 신망이 있기 때문에 '화합형 총리'의 이미지에 어울린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이번 인선 배경에는 국회 패스트트랙 국면도 큰 영향을 미쳤다. 당초 청와대 내부적으로는 국회에서의 패스트트랙 법안 처리 후 총리 후보자를 발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기왕이면 국회 상황이 다 종료되고 차분하게 발표할 수 있기를 바랐다"고 전했다.
정 후보자가 차후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국회 대치 국면을 잘 풀어나가길 바란다는 기대감도 이번 인사에 담겼다. 청와대 관계자는 "패스트트랙 갈등 이후 있을 국회 갈등을 정 후보자가 잘 조정하면서 총선을 안정적으로 맞아줄 것이란 기대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후보자도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야당과의 소통 방식과 관련해 "국회의장을 하며 여야 간 대화, 협치 시도를 열심히 했기 때문에 그런 연장선상에서 야당과의 소통, 국회와 정부와의 소통도 강화에 국민에게 힘이 되는 정부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나 보수 야권에서는 총리 후보자 지명을 두고 강력 반발했다. 자유한국당은 논평을 통해 "삼권분립을 파괴하고 의회를 시녀화하겠다는 독재 선언"이라고 비판하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바른미래당도 "삼권분립에 침을 뱉는 후보 지명이 개탄스럽다"고 비난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전직 국회의장이었던 만큼 큰 문제가 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통화에서 "전직이었지 현직이 아니지 않냐"며 "큰 문제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