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블록체인

[혼돈의 코인시장①]테라·루나 사태…권도형은 지금 어디에

등록 2022-11-26 11:00:00   최종수정 2022-11-28 14:58:10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검찰, 최근 신현성 대표 피의자 신분 조사

'주범' 권도형은 여전히 온라인서 활동 중

최근에도 "투자자 보호 위해 싸웠다" 주장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코인 전문매체 코이니지와 인터뷰하는 권도형 CEO. (사진=코이니지 유튜브 캡처) 2022.08.16
[서울=뉴시스] 최현호 기자 = 올해 상반기에 발생한 '테라·루나 사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권도형(31) 테라폼랩스 공동창업자에 대해선 인터폴의 적색수배가 내려져 있지만 국내 수사기관은 여전히 권 대표의 행방을 찾지 못하고 있다. 희대의 사기극이나 `먹튀' 사건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25일 가상자산업계와 법조계 등에 따르면 검찰은 지난 17일 테라폼랩스 공동 창업자인 신현성 차이코퍼레이션 총괄대표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지난 15일에는 서울남부지법이 신 대표의 1400억여원 재산을 기소 전 추징보전해달라는 검찰의 청구를 인용 결정했다. '기소 전 추징보전'은 피의자를 재판에 넘기기 전에 범죄로 얻은 것으로 의심되는 수익을 동결하는 절차다. 법원이 청구를 인용하면 피의자는 해당 재산을 임의로 처분할 수 없게 된다.

신 대표는 일반 투자자 모르게 사전 발행된 가상화폐 루나를 보유하다가 고점에서 매도해 1400억원대 부당이득을 챙겼다는 의혹 등을 받는다.

◆권도형은 여전히 온라인 상에 등장

검찰이 테라·루나 사태와 관련해 수사망을 좁혀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 주범이라고 할 수 있는 권 대표의 행방은 찾지 못하고 있다. 권 대표는 인터폴의 적색수배 통보가 내려진 상태지만, SNS와 인터넷 방송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최근에도 권 대표는 자신의 SNS를 통해 루나 폭락 당시 테라 가치 방어를 위해 끝까지 노력했다고 주장했다.

지난 17일 권 대표는 한 컨설팅업체 명의로 작성된 기술 감사 보고서를 공개, 테라·루나 사태 당시 루나 파운데이션 가드(LFG)가 가상화폐 28억 달러(약 3조 7184억원)를 투입했다고 밝혔다. 테라의 가치 방어를 위해 LFG가 지급준비금을 활용해 자금을 투입했다는 주장이다.

권 대표는 이같은 사실을 밝히며 "보고서는 LFG의 자본이 모두 테라 가치 방어를 위해 사용됐고 나머지는 그대로 남아 있음을 밝히고 있다"면서 "우리는 최후까지 테라와 그 보유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싸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뭔가 잘못됐을 때 사기를 의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모든 가상화폐 사업의 실패 사례를 사기로만 치부한다면 우리는 실패에서 배울 수 없다"고 덧붙였다.

associate_pic
◆피해자 28만명 추정…테라·루나 사태는

테라·루나 사태는 지난 5월 한 투자자가 테라 코인 8500만 개를 팔아치워 가격이 0.98달러로 떨어지면서 시작됐다. 테라폼랩스가 개입해 1달러를 회복했으나, 다시 대량 매도가 이뤄지며 가격이 또 0.98달러대로 하락했다.

이후 테라가 안전하지 않다고 느낀 투자자들이 매도에 나서면서 테라 가격이 급락했다. 루나도 일주일 만에 10만원대에서 1원 안팎으로 떨어졌다.

이같은 폭락은 테라의 페깅(고정) 시스템이 무너지면서 시작됐다. 테라는 미국 달러화에 1대1로 고정돼 1달러를 유지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 코인이다. 테라의 가치가 떨어지면 루나를 팔아 테라를 사들여 달러화와의 가치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테라의 가격이 1달러보다 높아질 때는 이를 반대로 해 가격을 유지하도록 만들었다.

테라는 이런 방식으로 미국 달러와 1대1 상태로 유지될 수 있었지만, 테라의 가격이 1달러 아래로 떨어지는 '디페깅' 현상이 일어나면서 루나 투자자들이 대규모 매도를 하는 '뱅크런'이 일어난 것이다.

특히 당시 국내 테라폼랩스 법인이 해산됐다는 점까지 알려지면서 투자자들의 신뢰는 더욱 크게 하락했다.

일주일 만에 가격이 100% 폭락해 휴지조각이 된 테라와 루나는 이후 며칠 만에 바이낸스와 업비트 등 국내외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에서 상장폐지됐다. 시가총액 총 52조원은 증발했고, 피해자는 약 28만 명으로 추산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