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에도 결국 안 돌아온…초유의 의대 '트리플링' 현실이 돼간다
40개 의대 4월 30일 자정 기점으로 유급 확정교육부, 각 대학에 유급사정委 조기개최 요청7일 복귀 수준 확인…"학사유연화 헛된 기대"
[세종=뉴시스]용윤신 기자 = 지난달 30일 기준 전국 대다수 의과대학의 유급 시한이 종료되면서 의대생들이 결국 집단 유급을 맞을 전망이다. 전체 의대생 수업 참여율이 26%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전날 자정까지 수업 참여의사를 밝히지 않은 학생들이 많을 경우 내년 24·25·26학번이 의예과 1학년 수업을 동시에 듣는 '트리플링'(tripling)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1일 교육부에 따르면 각 의과대학은 4월 30일 자정을 기준으로 유급 명단을 확정지었다. 이때까지 수업 참여 의사를 밝히지 않은 학생들에 대한 유급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지난달 29일 공문을 통해 각 대학에 ▲유급 현황 ▲제적 현황 ▲교육 운영 계획 및 학습권 보호 방안을 제출해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출석일수 미달 등으로 인해 성적이 부여 되지 않는 유급 사유 발생일은 언제인지, 더 이상 수업 참여 의미가 없는 유급 대상자에게 안내를 언제 하는지, 그리고 유급 예정 대상자 수가 몇명인지 등이 포함됐다. 유급 예정 대상자 수에는 온라인 수업에 따른 출석일수 확인 불가 또는 곤란한 경우도 포함하도록 했다. 유급 확정일 및 유급(성적)사정위원회 개최일도 조사 대상이다. 교육부는 유급사정위원회는 통상 학기말 또는 학년말에 개최되나, 오는 30일까지 수업 미복귀 시 유급 대상자 조기 확정을 위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 개최할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교육부는 지난달 17일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5058명에서 증원 전 수준인 3058명으로 줄이고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를 촉구했다. 하지만 모집인원 동결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율은 환원 이전 수준과 유사한 26% 안팎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각 대학은 26학번의 학습 피해를 줄이는 방식으로 학칙을 개정해 '트리플링'을 대비하고 있다. 동아대와 전북대는 이미 학칙 개정을 통해 26학번에게 수강신청 우선권을 주는 등 대비를 마쳤으며 여타 대학들도 유급 현황에 따라 유사한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높다. 의대 결손 인원에 한정해 편입학 관련 규정을 완화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 중이다. 대학은 부지와 건물, 교수, 수익용 기본 재산 등 4대 요건을 바탕으로 등급을 나누고 1등급이면 결손 인원 전체를, 가장 낮은 6등급이면 결손 인원의 15%까지만 편입학으로 충원할 수 있다. 이에 일부 대학에서는 의대 편입학 요건을 완화해달라고 교육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7일 교육부 취합 결과에 따라 대다수의 대학은 대규모 유급 대책을 확정 지을 전망이다. 한편 일부 학생 사이에서는 6월 이후 새정부가 출범하면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미복귀자를 구해줄 것이라는 막연한 루머가 돌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확인되지 않고 확인할 수도 없는 헛된 기대'라며 일축했다. 이종태 KAMC 이사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학적 정리 문제는 학교마다 행정적 절차가 좀 다르지만 오늘로서 사실상 유급이 확정된다고 보면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