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산업/ESG

반도체·전력·공조·IT…수혜 기업도 부지기수 [AI 고속도로 뜬다③]

등록 2025-06-21 10:02:00   최종수정 2025-06-23 15:55:14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삼성·SK, HBM 등 수요 확대 기대

전선·공조업계도 센터 건립 참여 전망

IT 업계, 로봇·물류 등 서비스 확장 기회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4월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한 이후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에서 한 직원의 설명을 듣고 있다. 2025.04.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지용 기자 = 정부가 AI 고속도로로 불리는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설을 적극 지원하면, 반도체와 전력, 공조, IT 등 관련 산업도 적지 않은 수혜를 볼 수 있다.

당장 고대역폭메모리(HBM)와 DDR5 등 차세대 메모리 수요가 폭증할 수 있다. 이어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한 전력과 냉각시설이 대규모로 필요해 전선 및 공조 기업들도 활기를 띨 수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는 AI 공약에 따라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 개를 확보하고 전국에 걸쳐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AI 고속도로' 사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AI 고속도로 개념은 AI 데이터센터를 한 지역에 짓기보다 전국 각지에 분산 건립하되 이를 총괄하고, 연결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쉽다.

이재명 대통령은 후보 시절부터 국내 AI 생태계 확립과 AI 기업 육성을 강조해온 만큼, 국내 핵심 산업의 기업들이 AI 데이터센터 건립에 따라 직접 수혜를 볼 전망이다.

우선 반도체 업계의 경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HBM, DDR5 등 AI 데이터센터향 차세대 메모리를 대량 공급할 수 있다. 글로벌 메모리 시장을 양사가 주도하는 만큼 데이터센터의 칩 수요도 고스란히 흡수할 전망이다.

이재명 정부가 공약한 'AI 전용 신경망처리장치(NPU)' 개발 공약에 따라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NPU 수요가 동시에 커지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물론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들도 기회를 맞을 수 있다.

국내 AI 반도체 팹리스(설계) 기업인 리벨리온은 삼성전자의 5세대 HBM3E 12단을 활용해 NPU를 생산하고 있다. 퓨리오사AI도 SK하이닉스의 4세대 HBM3를 탑재한 AI 칩 '레니게이드'를 시장에 내놓고 있다.

AI 데이터센터 건립이 본격화하면 이 같은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협력 관계가 더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전선 업계도 AI 데이터센터의 수혜를 받을 수 있다.

통상 AI 데이터센터는 일반 데이터센터에 비해 전력을 6~10배 더 소비하는 만큼, 초고압 케이블을 생산하는 LS전선과 대한전선의 제품 수요가 늘 수 있다.

그 동안 전선 업계는 데이터센터 건립이 활발한 북미에 눈을 돌렸지만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계기로 국내 사업 확대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이 많아지면 열을 냉각할 공조 기술이 필요하다. 자연스럽게 공조 기술에 공을 들이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도 데이터센터 구축 사업에 직접 참여할 여지가 크다.

삼성전자는 최근 유럽 최대 냉난방공조 기업인 플랙트그룹을 인수하며 데이터센터 수요에 본격 대응하고 있다. LG전자는 LG유플러스와 함께 AI 데이터센터 액체 냉각 솔루션 시험 운영을 시작했다.

이 밖에 네이버, KT, 카카오 등 IT 기업들도 클라우드를 구축 중으로, 향후 건립할 AI 데이터센터를 직접 운영하며 로봇과 물류, 자율주행 등 서비스 확장에 나설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100조원 규모의 AI 투자를 유치하는 만큼 AI 데이터센터 건립 규모는 상당할 것"이라며 "기업들이 국내에서 AI 사업을 확대할 기회가 될 지 관건"이라고 전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LG전자가 AI시대를 맞아 급성장하는 데이터센터에 차별화된 고효율 HVAC 솔루션 공급을 더욱 확대한다. 최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데이터센터 SI(System Integration) 기업인 GS ITM과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및 IT 인프라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사진은 데이터센터 내 CPU·GPU 칩의 열을 직접 냉각시키는 액체냉각 솔루션인 LG전자 CDU(Coolant Distribution Unit, 냉각수 분배 장치). (사진=LG전자 제공) 2025.05.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관련기사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