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출장 많은 기업들, "앞으로가 더 걱정"[美 근로자 구금 그후①]
기업들 美 출장 관행 재검토 진행"ESTA, B1 등 활용하는 경우 많아"CES 2026 행사 영향 줄까 긴장감
1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출장이 잦은 기업들마다 기존 비자 관행을 일제히 점검하고 있다. 최근 구금된 근로자들이 무사히 귀국했지만,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 관계자 331명이 이민 당국에 체포되는 사태는 더이상 재발되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의 대미 투자 규모는 최근 관세 협정에서 언급된 규모만 3500억달러(486조원)로, 그 분야도 반도체·배터리·완성차·태양광·원전·식품 등 주요 산업 전반에 걸쳐 있다. 한국 기업들이 우려하는 가장 큰 포인트는 미국 단기 출장 시 대부분 전자여행허가제(ESTA)를 활용하던 관행이다. ESTA는 관광 또는 단기 상용 목적으로 90일 이내 체류할 경우 활용하는 비자 면제 제도인데, 비즈니스 미팅이나 회의도 상용에 포함된다. 하지만 이번 단속으로 미국이 ESTA의 '상용 목적'을 제한적으로 해석하는 것 아니냐는 진단이 나온다. 이번에 구금된 사람들은 대부분 ESTA, B1·2 상용·관광비자를 갖고 있다. 한국 기업과 외교 당국은 구금됐던 한국인 대부분이 비자 허용 범위 내에서 일했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부터 출국 직전 ESTA가 취소되거나, 미국 공항에서 입국 목적이 ESTA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귀국 당하는 사례가 온라인에서 확산되고 있다. 일각에선 미국 당국이 기업별로 ESTA 비자를 다수 발급받거나, ESTA 비자로 미국에 오래 체류한 인원들에 대한 명단을 추린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온다. 특히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직원들의 우려가 큰 편이다. 대기업은 미국 현지 법인을 가동해 고용 관계 등 증명에 유리해 필요에 따라 L1 주재원 비자를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은 현지 법인 설립 등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에 앞으로 미국 공장 건설을 위해선 2~3차 이상 하도급 업체가 직원들까지 비자 발급을 지원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당장 이번 사태가 내년 1월 열리는 CES에 어떤 영향을 줄 지 관심거리다. 단순 참관은 ESTA 범위 내라는 해석에 힘이 실리지만, CES 같은 대형 전시회를 위해선 수십명의 직원들이 동원돼야 하는 만큼 미국 당국이 이를 예민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비자 자문 계약을 맺은 로펌에 비자 문의를 하는 빈도가 늘고 있다"며 "직원들의 담당 업무에 따라 비자 유형을 확인하고, 기존 관행에 '비자 리스크'가 없는지 확인하는 절차가 더 까다로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
관련기사
- 비자 종류만 80종…혼란 키우는 美 제도[美 근로자 구금 그후④]
- "사람이 하던 일, 로봇이 맡는다"…자동화 가속[美 근로자 구금 그후③]
- 미주노선 '흔들'…"미국행 취소 늘었다"[美 근로자 구금 그후②]
- "아들아 고생했다" 나이든 부모님도 마중…가족 품 안긴 '美 구금' 근로자들(종합)
- "족쇄 찬 한국 노동자 모습이 대미 투자 막을 것"-WSJ
- 위성락 안보실장 "美구금 근로자들 재입국 불이익 없도록 합의"
- 조현 "한미 워킹그룹, 최소 국장급 총괄…주한美대사관 데스크 설치 포함 논의"
- 국힘 "李정부, '성과쇼' 할 때 아냐…외교참사 반성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