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쇄신]계열사 독립성 강화한 자율경영 체제 효과낼까
컨트롤 타워 부재에 기능적 측면서 비효율성 우려도 【서울=뉴시스】최현 기자 = 삼성이 그룹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던 '미래전략실'을 해체함에 따라 계열사 자율경영의 시대가 열렸다. 미전실이 각 계열사를 조율하던 방식에서 각자 독립경영을 하게 된 것이다. 삼성은 28일 발표한 쇄신안에서 "각사는 대표이사와 이사회 중심 자율 경영하게 된다"고 밝혔다. 그룹을 컨트롤하던 미전실이 없어진 만큼 각 계열사가 대표와 이사회 중심으로 자율 경영을 하게 된다. 그룹 차원의 '가이드라인'보다는 각 계열사가 이사회를 통해 주요 의사결정을 하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각 계열사의 책임과 권한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계열사들이 이사회를 중심으로 자율경영을 하는 것은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는 선진경영을 정착시킨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동안 삼성이 그룹 체제의 경영을 하면서 계열사들을 관리하는 측면이 있었지만 이제는 이를 완전 중단, 각 회사들이 독립성과 책임을 갖고 운영해 나가도록 한다는 것이다. 미전실을 이끌면서 그룹의 2·3인자로 꼽혀온 최지성 실장(부회장)과 장충기 차장(사장)도 경영 일선에서 물러남에 따라 각 계열사를 맡고 있는 사장단의 권한이 높아지게 될 전망이다. 실제로 사장단 인사를 그룹에서 발표하던 것과 달리 삼성SDI가 이날 전영현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사장)을 신임 대표로 내정했다고 밝히는 등 '자율경영'이 본격적으로 시작됐음을 시사했다. 재계 일각에서는 삼성이 전자와 생명, 물산의 3각 축을 토대로 그룹 경영을 끌어갈 것이라는 분석을 하고 있다. 계열사들끼리 업무가 중첩되거나 조율이 필요한 경우 전자·생명·물산의 경영지원조직이 주도적으로 나서 교통정리를 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단일화된 컨트롤타워가 없다는 점에서 기능적으로 다소 비효율성이 드러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즉 주요 사안에 대해 신속하고 집중적인 결단과 행동이 이뤄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이는 그룹 전반의 경쟁력이 약화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삼성 입장에서는 리스크를 감안하고 진행하는 쇄신안인 셈이다. 이미 삼성 계열사들은 전문경영인 체제로 돌아가고 있지만 조율자 역할을 하던 미전실이 사라지면서 불협화음이 생길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애초 '관리의 삼성'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것도 미전실이 있었기에 가능했었다. 이날 해체된 미전실은 삼성그룹의 창업자였던 고 이병철 선대회장 시절 비서실을 모태로 해 이건희 회장이 구조조정본부, 전략기획실 등의 이름으로 유지했던 조직이다. 1959년부터 1998년까지 비서실, 이후 2006년까지 구조조정본부,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전략기획실이란 이름으로 운영되며 그룹의 주요 의사결정을 책임지는 기구 역할을 했다. 미전실은 전에도 사라진 적이 있었지만 막후 활동으로 명맥은 계속 유지됐다. 하지만 삼성은 대관업무 등 미전실 기능을 유지하는 어떤 조직도 두지 않는다는 계획이다. 한 재계 고위 관계자는 "삼성이 이번 기회에 전격적인 개혁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체제가 바뀜에 따라 과도기적인 문제는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삼성이 이를 어떻게 헤쳐나가는지에 대해 이목이 쏠릴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