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국제일반

출구 못찾는 '카타르 단교사태’···가짜뉴스 논란까지 가세해 장기화

등록 2017-07-23 05:00:00   최종수정 2017-07-25 09:01:59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associate_pic
【제다=AP/뉴시스】사우디아라비아와 바레인, 아랍에미리트, 이집트 등이  5일 (현지시간)카타르와 국교를 단절한다고 발표했다. 사진은 지난 2015년 11월 10일 사우디 리야드 공항에서 카타르의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 타니 (가운데 왼쪽)국왕이 사우디의 살만 국왕의 영접을 받고 있는 모습. 2017.06.05
【서울=뉴시스】조인우 기자 = 카타르를 상대로 한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이집트, 바레인 등 아랍 4개국의 단교 사태가 8주째로 접어들고 있다. 양측 모두 강경한 태도를 고수하면서 갈등 해결이 요원하다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사우디 측이 한 발 물러선 6대 원칙을 제시하면서 사태의 돌파구가 열릴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카타르 사태 8주 째···사우디 측 “공은 카타르에게”

 지난달 5일 사우디 등 4개국은 갑작스럽게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했다. 언론을 통해 테러를 선동하고 이란 등과 연계된 테러 단체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는 이유다. 이들 4개국은 단교 선언과 동시에 카타르와의 공중 및 해상·육상 경계를 봉쇄하고 압박을 시작했다.

 이후 알자지라 방송 폐쇄, 이란과의 절연, 터키와 군사협력 중단 등의 13개 요구사항을 내놓았으나 카타르가 이를 “비현실적”이라고 일축하고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사태 해결의 첫 단추가 어긋나고 말았다.

 4개국 외무장관은 이집트 카이로에서의 회담 후 카타르의 입장에 대해 “카타르가 걸프 지역의 안보와 안정성을 해치고 있다”며 “우리의 권리와, 안정성을 보호하기에 적절한 방식으로 모든 정치적, 법적, 경제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걸프협력회의(GCC) 추방, 은행 봉쇄 등의 추가적인 조치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13개 요구사항이 2013년과 2014년 GCC 국가 외무장관 협의회에서 카타르 국왕과 외무장관이 이미 동의한 내용임을 강조하며 카타르가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비판하고 있다.

 지난 10일 갈등 중재를 위해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중재국 쿠웨이트에 이어 갈등 당사국을 찾았으나 성과는 미미했다. 그는 카타르와 대테러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한편 사우디 등 4개국 정상 및 외무장관을 만났다. 사우디 측 4개국은 틸러슨 장관이 처음부터 카타르의 편에 섰다는 비판적인 시선을 보내며 "미국과 카타르의 MOU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단교 조치를 이어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associate_pic
【도하(카타르)=AP/뉴시스】지난 2015년 1월1일 카타르 도하의 알자지라 방송 스튜디오에서 직원들이 일하고 있다. 카타르와 국교를 단절한 사우디아라비아와, 이집트, 아랍에미리트연합, 바레인 등 아랍 국가들은 22일 카타르에 알자지라 방송 폐쇄와 이란과의 국교 단절 등이 포함된 13가지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이 모두를 10일 내에 이행하라고 요구했다. 2017.6.23
이어 사우디 등 4개국은 18일 카타르에 ▲극단주의 및 테러리즘에 맞서 싸울 것 ▲극단주의 단체에 자금 또는 은신처 제공 금지 ▲증오와 폭력을 부추기는 도발이나 발언 중단 등의 6대 원칙을 제시하고 이를 이행할 계획을 논의할 것을 촉구했다. 13개 요구사항에서 한 발 물러선 모양새다.

 압달라 알 무알리미 유엔주재 사우디 대사는 이와 관련해서는 어떤 양보도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알자지라 방송을 폐쇄하지 않고도 폭력 선동을 중단할 수 있다면 그것도 괜찮다고 밝혔다. 림 알 하시미 UAE 국제협력부 장관은 “이제 공은 카타르에게 넘어갔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가 중동의 권력구조 재편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내다보고 있다. 중동의 맹주 사우디가 단교 사태를 주도한 핵심 목표는 역내에서 가장 진보적인 외교 노선을 타고 있는 카타르의 정권교체라는 지적이다.

 이슬람 수니파 종주국인 사우디는 특히 카타르가 중동지역에서 시아파 종주국 이란을 인정하는 행보로 이슬람의 오랜 수니-시아파 대립구도에서 이란에 힘을 실어주는 것에 불쾌함을 표하기도 했다.

◇사태에 불지피는 가짜뉴스

 카타르가 테러 단체를 지원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오래 전부터 제기된 의혹이다. 따라서 이번 단교 사태를 본격적으로 촉발한 이유는 가짜뉴스로 꼽힌다.

associate_pic
【도하(카타르) = AP/뉴시스】 아랍4개국의 외교단절 철회조건으로  13개 요구사항을 들어주지 않으면 군사공격을 하겠다는 최후통첩기한(2일 자정)을 앞두고 도하의 주가가 하락했다.  시민들은 그러나 지난 달 첫 통보때처럼 전쟁대비 사재기 소동을 벌이지 않고 차분하게 사태를 주시하고 있다. 2017.07.02   
카타르 국교단절 선언은 지난 5월 23일 카타르 국영 뉴스통신사 QNA가 이란을 ‘이슬람 패권 국가(Islamic power)’라 칭하고,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찬양하는 내용 등이 담긴 카타르 국왕의 성명을 보도하면서 촉발됐다.

 이에 대해 사우디 등이 강력히 반발하자 카타르 정부와 QNA는 해킹으로 가짜뉴스가 송고됐다고 해명했다. 셰이크 모하메드 빈 압두라흐만 알 타니 카타르 외교장관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미국 FBI가 해킹 사실을 확인했다며 카타르 내무부와 FBI, 영국 국가범죄국(NCA)의 공조로 관련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정보당국을 인용해 QNA 해킹의 배후에 UAE가 있다는 의혹을 보도하면서 논란이 다시 한 번 불거지는 모양새다. WP에 따르면 미 정보당국은 UAE 정부의 고위 관계자들이 해킹을 계획하고 실행에 대해 논의한 것을 확인했다고 알렸다.

 UAE 측은 “WP의 보도는 완전한 거짓”이라고 강력하게 부인하고 있다. 워싱턴 주재 UAE 대사관은 트위터를 통해 “UAE는 WP가 기사에서 묘사한 해킹 행위에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최근에는 외신을 중심으로 UAE 등 4개국이 국제축구연맹(FIFA)에 카타르의 2020년 월드컵 개최 자격 박탈을 촉구했다는 보도가 이어지기도 했다.

 이에 19일 방한한 수하일 모하메드 파라즈 알 마즈루이 UAE 에너지부 장관은 “해킹과 FIFA 압박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며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이웃 국가 카타르를 이런 식으로 공격하는 짓은 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associate_pic
【도하=AP/뉴시스】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이 11일(현지시간) 카타르 단교 사태 중재를 위해 카타르를 방문해 셰이크 타밈 빈 하사드 알사니 카타르 국왕을 만났다. 이날 미국과 카타르는 테러단체에 대한 자금지원을 막는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2017.07.12
그는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해 “언론이 우리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고 진짜 목적에서 멀어지게 하려는 의도”라면서 “우리가 초점을 맞춰야 할 유일한 문제는 카타르가 테러세력을 지원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란도 사우디가 자국 국영 뉴스 채널을 해킹해 가짜뉴스를 유포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란 국영 뉴스 채널 알알람(Alalam)의 아랍어 공식 트위터 계정에 지난 16일 카타르 국왕이 이란 대통령에게 카타르에 이란의 군사 기지 설립을 요청했다는 내용의 기사가 게제됐다. 이는 사태에 기름을 부을 수 있는 기사다.

 알알람은 이에 18일 성명을 발표해 “군사 기지를 설립했다는 내용은 완전한 거짓”이라며 “사우디 언론이 이를 즉시 재생산해 유포한 것은 해킹의 배후에 사우디가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주장했다.

◇세게 나오는 카타르…보상 청구·ICJ 제소도 검토

 카타르 정부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테러단체를 지원한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고 사우디 등 4개국의 요구는 주권침해라고 반박하는 한편 최악의 외교위기에 탄탄한 경제적 기반으로 맞서겠다는 모양새다.

 알리 샤리프 알 에마디 카타르 재무장관은 “카타르는 사우디아라비아 등에게 위협을 당하기에는 너무 부자”라며 “수십년 동안 천연가스를 통해 쌓은 국부로 그들의 경제제재를 견딜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4일에는 천연가스 생산량을 2024년까지 매년 30%씩 증량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하며 걸프 국가들의 장기적인 경제 봉쇄에 맞설 의지를 밝혔다.

associate_pic
【파사이 = AP/뉴시스】 최근 아랍국가들이 카타르와 단교를 선언하는 등 중동위기가 심화되면서 아랍국가들간에  카타르에 있는 미 공군기지가 이 나라에 대한 제재를 막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워싱턴주재  아랍에미리트 대사는 13일(현지시간) 미국정부에 대해 공군기지 이전을 고려해줄 것을 제안했다. 사진은 필리핀 수도 마닐라 인근 파사이에 있는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에서 카타르 행 비행기를 타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     
생필품 공급 위기는 수입원 다각화로 타파할 전망이다. 카타르는 식료품의 약 90%를 수입하는 국가다. 특히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유일하게 국경이 닿은 사우디가 생필품 대부분을 수입하는 통로가 됐다. 이에 카타르는 육로에서 공중으로 물자 수입의 창구를 바꾸고 이란과 터키, 페루와 모로코 등에서 낙농제품과 과일을 수입하는 등 위기 타파를 꾀하고 있다.

 최근에는 독일과 호주, 미국에서 4000마리의 젖소를 들여 오기도 했다. 이는 카타르 내 낙농제품 수요의 30%를 충당할 수 있는 규모다.

 또 사우디 등 4개국에 손실 보상을 요구하는 등 법적 조치를 취할 계획을 밝히고 나섰다. 아흐메드 빈 자심 알타니 카타르 경제장관은 18일 스위스 제네바 국제무역기구(WTO) 본부에서 대표단과 만나 카타르가 받을 수 있는 보상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칼리드 알아티야 카타르 국방장관도 “카타르 정부가 이번 사건을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앞서 카타르는 단교로 인한 피해를 책임지라며 손해배상위원회를 발족하고 정치·경제적 손실을 보상하지 않을 경우 걸프협력위원회(GCC)를 탈퇴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