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정치일반

[바른미래당 현주소②]선거제·이탈기류 난제…'손학규 리더십' 본격 시험대

등록 2018-12-20 10:08:00   최종수정 2018-12-31 09:05:03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여부에 당 존립가능성 달려

가시화된 의원 이탈설…'제3당 한계 극복할까' 주목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김병문 수습기자 =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가 15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열린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촉구를 위한 야3당 농성 해단식'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2018.12.1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유자비 기자 =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의 리더십이 본격 시험대를 눈앞에 두게 됐다. 단식 농성으로 불씨를 살려낸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 논의' 성과물에 당과 본인의 정치생명력 연장 여부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수면 아래 가라앉아 있던 의원들의 이탈이 가시화된 점도 풀어야 할 숙제다.

정치권이 선거제도 개혁 합의문을 도출해낸 데에는 올해 72세이자 거물급 정치인인 손학규 대표의 단식 농성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민 관심을 끄는 데 한계가 있는 소수정당 대표로서 단식이란 승부수를 던져 당의 존재감을 드러냈고, 향후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으로 다당제가 정착될 가능성도 열어 놨다.

하지만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이라는 결과물을 얻은 것은 아니다. 다가올 2020년 총선에서 유의미한 득표를 얻어내 정당 존립 가능성을 높이려면 최종 합의를 속히 이끌어내야 하는데, 거대양당 입장에서는 반가울 리 없다. 의원정수 확대에 부정적인 국민 여론을 우호적인 방향으로 돌리는 것도 난제다. 성과를 낸다면 손 대표의 정치적 입지가 보다 탄탄해지겠지만, 합의 도출에 실패하면 '거취'까지 언급한 그의 리더십에 큰 상처가 남게 된다.

특히 선거제 개혁 성사는 당장 당의 구심력을 확보하느냐의 문제와도 직결된다. 이학재 의원의 탈당을 기점으로 가시화될 것으로 보이는 의원들의 이탈에 본격 대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는 현재 정계개편 국면을 앞두고 각 정당의 '의원 흔들기' 시도와 맞닥뜨린 상태다. 바른정당 출신 의원들의 경우 내년 2월로 예상되는 한국당 전당대회를 기점으로 도미노 탈당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미 민주평화당에서 활동 중인 당 소속 비례대표 의원 3명이 국민의당계 의원들과 제3지대를 꾸릴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나온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김병문 수습기자 =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가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로텐더홀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선거제 개편 수용 없이 2019년 예산안을 합의한 것에 반발해 9일째 단식을 이어가고 있다. 2018.12.14. [email protected]
손 대표는 정치 개혁을 통한 다당제 구조에서 '중도우파의 개혁보수, 중도좌파의 개혁진보를 아우르는 중도개혁 정당'으로 정계개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공언해왔다.  반면 당 안팎에서는 소수정당의 한계와 불확실한 당의 지지기반, 정체성을 지적한다. 따라서 이런 우려를 불식시키고 당 의원들을 끌고 갈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가 손 대표 정치력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창당의 주역인 안철수·유승민 전 대표가 당내 활동을 하지 않는 점과 지지율 답보 상황도 숙제다. 특히 유 전 대표는 공개 활동은 재개했으나 "제가 생각하는 개혁보수와 바른미래당의 방향이 좀 맞지 않다는 괴로움이 있다"고 밝혀 탈당설에 불이 붙은 상태다. 손 대표로서는 당의 차기 대권주자를 지켜내야 하는 과제에 봉착한 것이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손학규 대표는 과거와 현재의 몸을 담은 집 자체가 다르다. 양당제 구조에서는 현재처럼 제1야당인 한국당 지지율이 살아날수록 제3당의 입지가 훨씬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어려운 정치 현실을 풀어내는 길이 녹록치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