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경제가 희망이다]한국은 공유경제의 무덤?...곳곳서 '파열음'
우버, 국내 서비스 시작한 지 2년 만에 퇴출카카오 카풀 서비스 둘러싼 갈등도 '점입가경'업계, 정부의 소극적인 규제 혁신 원인으로 꼽아
이는 공유경제 스타트업이나 새로운 서비스가 나올 때마다 기존 경제주체의 반발로 사업이 지연되거나 규제 장벽에 막혀 좌초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인데, 이같은 갈등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앞서 세계 1위 차량 공유경제 기업 우버 역시 2013년 우리나라에 상륙해 야심차게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2년도 채 안돼 국내 시장에서 퇴출됐다. 2015년 우리나라 법원은 우버가 불법이라고 판결했다.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상 자가용으로 승객을 태우고 대가를 받는 행위는 불법행위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1위 카풀 스타트업 풀러스도 택시업계의 반발과 국토교통부의 소극적 대응으로 인해 구조조정을 진행한 데 이어 올해 사업을 대폭 축소하고 경영진을 대거 교체한 바 있다. 현재는 카카오가 시행을 계획 중인 카풀 서비스를 둘러싼 갈등이 점입가경이다. 카풀업계와 택시업계 간 갈등은 카카오가 카풀 영업을 시작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면서 시작됐다. 여기에 한 택시기사가 카카오 카풀 영업에 반대하며 분신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양측 간 갈등은 더욱 심화했다. 이에 따라 카카오는 현재 17일 출시하기로 예정했던 카풀 정식 서비스를 잠정 연기한 상태다. 물론 해외와 달리 국내에서 공유경제 기업들이 맥을 못추고 있는 데엔 복합적인 이유가 있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정치권의 방관과 정부의 소극적인 규제 혁신을 가장 큰 이유로 꼽고 있다. 최근 기획재정부 산하 혁신성장본부 민간공동본부장직을 내려놓은 이재웅 쏘카 대표가 내놓은 사퇴의 변에서도 이같은 아쉬움을 읽을 수 있다. 이 대표는 그간의 성과를 언급하며 "공유경제는 소득주도성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고,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인데 아무런 진전을 만들지 못해 아쉽다"며 무력감을 토로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제 저는 기업에서 해야할 일을 하겠다"며 "공유경제를 통한 지속가능한 혁신성장동력을 만들고 그것이 사회를 지속가능하게 하는데에 보탬이 된다는 것을 보여드리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
관련기사
- [新경제가 희망이다]로봇산업 매년 두자릿수 성장...2020년엔 210兆시장
- [新경제가 희망이다]5G 신세계…실감나는 AR·VR이 몰려온다
- [新경제가 희망이다]이통3사, 5G 달고 VR·AR 콘텐츠 '불꽃경쟁' 나선다
- [新경제가 희망이다]'규제 방목' 해외 공유경제 훨훨...단숨에 유니콘기업으로
- [新경제가 희망이다]'웨어러블 로봇' 고성장 전망...국내 개발·투자 현황은
- [新경제가 희망이다]블록체인이 산업 혁신…암호화폐가 생태계 유지
- [新경제가 희망이다]블록체인, 대기업 진입 가속화...서비스 경쟁 시작
- [新경제가 희망이다]韓, 헬스케어·바이오 키운다…관건은 인재·ICT 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