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산업/기업

[주목! 이 사람] 이재호 소장 "세계는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실험중"

등록 2019-08-14 09:24:41   최종수정 2019-08-26 10:27:09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카카오모빌리티 1대 디지털경제연구소장과 판교서 인터뷰

"항공기·철도·선박 등 모든 교통수단 묶어 서비스로 제공"

"클릭 한번으로 검색·예약·결제까지…사회적 합의가 과제"

associate_pic
▲이재호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장
【서울=뉴시스】이진영 기자 = "각국에서는 항공기, 선박, 철도, 버스, 택시, 렌터카, 자전거 등 모든 이동 수단을 묶어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하나의 서비스 행태로 경로 검색부터 예약, 결제까지 할 수 있는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실험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4월 카카오모빌리티에 합류해 사내 첫 디지털경제연구소장이라는 직함을 단 이재호(42) 소장은 지난 8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에 위치한 사무실에서 이같이 전했다.

국내 최대 모바일 플랫폼 기업 카카오의 모빌리티 계열사인 카카오모빌리티는 2015년 3월 모바일 택시 호출 서비스를 출시했고, 현재 '카카오 T' 앱 누적 가입자는 2200만명이 넘는다. 국민 절반 이상이 이용하는 국내 대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키운 것이다. 이어 카카오 내비, 카카오 T 대리, 카카오 T 주차, 카카오 T 포 비즈니스 등을 잇따라 출시하는 등 명실상부 모빌리티 혁신을 이끄는 국내 대표주자이다.

카카오모빌리티에서 국내외 모빌리티 동향과, 이를 둘러싼 정치·경제·사회 환경을 연구·조사하는 역할을 맡은 이 소장은 세계적으로 시도되는 다양한 모빌리티 혁신을 주목하고 있다. 한국 모빌리티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이 소장은 "국내는 승용차, 버스, 지하철 등 제한된 교통수단 범위에서 카카오맵, 네이버 지도 등의 길찾기 기능이 최적 이동 경로와 소요 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데 그치지만 해외에서는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아직까지는 초기의 형태로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스마트폰 하나로 항공기, 철도, 택시, 자전거, 전동, 스쿠터, 주차장, 렌터카, 차량공유 등을 포괄해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서의 모빌리티'(MAAS: Mobility as a Service) 시대가 열리고 있다고 이 소장은 강조했다.

가령 핀란드 수도 헬싱키에 2016년 10월 출시된 '윔'(Whim)은 모든 종류의 대중교통 및 개인교통 수단을 통합해 최적 경로를 알려주고 검색·예약·지불까지 해결해 준다. 윔에는 버스, 철도, 공유자전거, 택시, 렌터카, 차량공유 등 사람들이 자주 이용하는 교통수단이 모두 포함돼 있다. 개별 교통수단 플랫폼을 일일이 찾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윔은 승용차 사용을 줄이기 위해 승용차에 준하는 편리함을 대중교통에도 구현하고자 하는 핀란드 정부와 헬싱키교통공사가 주축이 돼 만들어졌으며 에릭슨, 지멘스, 우버 등의 기업도 참여하고 있다. 핀란드 외에도 유럽 여러 나라에서도 유사한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시도가 정부 또는 민간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세계 최대 모빌리티 서비스 기업인 우버도 지난 1월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우버 앱에 대중교통 실시간 정보와 예약 서비스를 연동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고객이 원하는 출발지와 도착지를 입력하면 우버 서비스가 아니더라도 대중교통을 포함해 가능한 모든 경로와 이동수단을 제시해 준다.

국내는 아직까지 모빌리티 혁신에 있어 뒤처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상당수 나라에서 상용화된 '승차공유'는 아예 법적으로 제한된 것이 한 예이다.

이 소장은 "서울은 과거 교통카드를 통해 버스와 전철의 통합결제 시스템을 구축했고 당시 선구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며 "이렇게 통합 서비스로 모빌리티의 첫걸음을 내디뎠지만 10년이 지난 지금 그 이상의 혁신적 변화는 일어나지 않고 있다"라고 진단했다.

모빌리티 서비스는 수많은 일자리와 다양한 집단의 이익이 얽혀있는 만큼 모빌리티 기업은 다른 IT 서비스 기업과 달리 큰 사회적 반발에 부딪힌다. 지난한 사회적 합의 절차를 겪어야 하며, 수십년간 유지돼온 법과 제도도 바꿔야 한다.

시민사회의 태동이 선진국보다 늦은 한국에서는 이러한 갈등 조정 과정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렇다고 세계적으로 더 편리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도전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앞으로도 계속 뒤처져서는 곤란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또한 자율주행이라는 모빌리티 판이 뒤집힐 만한 변화도 앞두고 있다.

이 소장은 "지난달 정부가 택시제도 개편방안을 발표해 이제 겨우 새로운 택시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는 합법적인 통로가 열렸다"며 "정부와 정치권은 이에 안주하지 않고 모빌리티 혁신과 그에 따른 변화가 사회에 연착륙 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동을 위해 움직이는 시간을 즐겁게 여기는 사람은 거의 없고 불쾌하거나 낭비하는 시간이라고 여기는 이들이 대부분"이라며 "앞으로 이동이 즐거운 경험이 될 수 있도록 사회 각계와 정보를 교류하고 소통하겠다"라고 덧붙였다.

◇ 이 소장 약력

▲1978년 출생 ▲서울대 기계항공공학 학사·석사 ▲미국 조지아공대 셸러 비즈니스 스쿨 석사 ▲성균관대 경제학 박사 수료 ▲LG CNS 연구개발센터 주임연구원 ▲현대차 자동차산업연구실 연구위원 ▲현대경제연구원 산업정책실/비즈니스컨설팅실 연구위원 ▲대한민국 기술사업화자문단 정책보좌분과 위원(현)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산학연 네트워크 포럼 기술정책분과 위원(현) ▲대통령 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조정전문위원회 위원(현) ▲카카오모빌리티 디지털경제연구소 소장(현)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