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경제일반

거래 절벽 '현실화'…집값 하락으로 이어질까?

등록 2021-11-05 06:00:00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대출 규제 강화→매도·매수자 관망세→거래량 감소

일부 거래로 집값 하락 예단 무리…수급불균형 여전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서울 남산공원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2021.10.2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전화 상담은 간간이 있는데, 거래는 사실상 끊겼어요."

지난 4일 서울 동작구 흑석동 흑석한강푸르지오 단지 내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매수자와 매도자가 생각하는 집값의 차이가 크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매물이 조금 나와 있지만, 지난 일주일 동안 거래는 단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다"며 "호가를 낮춘 매물이 나와도 실제 거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 부동산 시장의 '거래 절벽' 현상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아파트 거래량은 부동산 가격의 선행지표다. 통상적으로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집값이 상승하고, 반대로 감소하면 하락 신호로 여겨진다. 하지만 올해 들어 거래량이 급감했으나, 집값이 되레 상승하는 비정상적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일정 호가 이하로 팔지 않겠다는 집주인과 집값이 하락하면 매수에 나서겠다는 매수 대기자간 팽팽한 줄다리기 상황이 이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시세보다 수억원 떨어진 급매물이 거래되면서 가격 조정이 이뤄지는가 하면, 또 다른 지역에서는 신고가를 경신하는 거래가 성사되는 등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건수는 1223건(지난 2일 기준)으로 집계됐다. 아직 등록 신고 기한(30일)이 남아 매매 건수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이나, 거래가 가장 많았던 지난 1월(5797건)에 비해서는 약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것이다.

올해 들어 매매량이 감소세다. ▲1월 5797건 ▲2월 3875건 ▲3월 3790건 ▲4월 3669건 ▲5월 4900건 ▲6월 3944건 ▲7월 4701건 ▲8월4191건 ▲9월 2690건 ▲10월 1223건으로 집계됐다.

정부의 대출 규제로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주춤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1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5% 올라, 전주(0.16%) 대비 상승 폭이 줄었다. 지난 8월 23일 연중 최고치인 0.22% 상승한 이후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 다만, 용산(0.27%)과 마포(0.25%), 서초(0.25%), 강남(0.21%), 송파(0.21%) 등 15억원 이상의 고가 주택이 밀집한 지역은 0.2%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강남권에선 서초구(0.25%)는 잠원·반포동 재건축 신고가 거래 영향으로 상승 폭이 확대됐고, 강남구(0.21%)는 대치·도곡동 재건축이나 주요 단지 위주로, 송파구(0.21%)는 잠실동 위주로, 강동구(0.16%)는 고덕·명일·암사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북권에선 용산구(0.27%)는 재건축이나 리모델링 기대감 있는 이촌동 위주로, 마포구(0.25%)는 아현·공덕동 인기단지 위주로, 은평구(0.19%)는 녹번·진관동 역세권 위주로 올랐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가계부채 관리 강화방안 발표와 금리인상 우려, 계절적 비수기 영향 등으로 관망세 짙어지고 있다"며 "거래활동이 감소하며 2주 연속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1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조사 결과 매매가는 0.23% 상승해 전주보다 0.01%포인트 떨어졌다. 서울은 0.15% 상승해 0.22%를 기록한 8월23일 이후로 상승폭이 축소되거나 같은 수준을 보였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일부 지역에서는 거래량 감소가 매매가 하락으로도 이어졌다. 국토교통부의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에 따르면, 송파구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3차(전용면적 135㎡)는 지난 9월16일 30억9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8월 31억900만원에 거래된 것과 비교하면 한 달여 만에 1억원 하락했다. 또 지난 7월 8억9900만원에 거래된 상계주공11(전용면적 68㎡)은 지난달 24일 8억5000만원에 거래가 성사됐다.

주택시장에선 대출 규제 등 정부의 부동산 잇단 규제에 따른 집값 하락의 전조 증상이라는 의견과 집값 급등에 따른 피로도가 반영된 일시적 조정이라는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다만, 집값 하락으로 평가하기에는 이르다는 게 중론이다. 여전히 강남권에선 재건축 단지와 외곽지역 중저가 단지에 대한 매수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시중은행의 대출 금리 인상과 정부의 추가 대출 규제 예고 등이 집값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공급 부족에 따른 수급불균형이 여전하고, 3기 신도시의 실제 공급까지 최소 5년 이상이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집값이 단기간에 하락 국면으로 전환하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집값이 하락세로 전환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진단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집값 조정이나 하락세로 전환하려면 신고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물이 꾸준히 나오고, 거래도 이어져야 한다"며 "일부 지역에서 호가를 낮춘 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대출 규제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크게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권 교수는 "대출 규제 등 정부의 잇단 규제 대책을 집을 팔지도, 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며 "지금은 하락세 전환보다는 일부 조정 가능성이 더 커 보이고, 하락세로 돌아설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