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 산업/기업

1973년 '첫 쇳물 감격' 포스코 포항1고로…48년 만에 역사속으로(종합)

등록 2021-12-29 21:12:00   최종수정 2022-01-03 09:37:48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29일 포항제철소 1고로 종풍식 개최

48년 6개월간 쇳물 5520만t 생산…경제발전 초석

역사적 가치와 의의 고려해 '포항1고로 뮤지엄' 건립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포스코 김학동 사장과 포항제철소 제선부 직원들이 종풍을 맞이하는 1고로 앞에 서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옥승욱 기자 = 대한민국 철강 역사의 산실이자, 경제 발전의 초석이 됐던 포항 1고로(高爐·용광로)가 48년 6개월여 만에 멈췄다.

포스코는 29일 포항제철소에서 김학동 사장, 이시우 안전환경본부장, 양원준 경영지원본부장, 남수희 포항제철소장, 이덕락 기술연구원장, 포스코 노동조합 및 노경협의회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1고로 종풍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종풍(終風)이란 수명이 다한 고로의 불을 끄는 것을 말한다.

김학동 사장은 "1973년 6월9일 첫 출선 당시, 故 박태준 명예회장님께서 직원들과 함께 1고로 앞에서 만세를 외치며 눈물 흘리시던 모습이 아직도 선한데, 종풍을 맞이하게 됐다니 실로 만감이 교차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이어 "변변한 공장 하나 없었던 변방의 작은 국가가 짧은 기간내 세계 10위권의 경제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포항 1고로와 여기 계신 여러분들의 노고가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함께 해준 직원들을 격려했다.

1970년 4월1일 착공한 포항제철소는 3년 2개월이 지난 1973년 6월9일, 1고로에서 처음 쇳물을 쏟아냈다.

대한민국은 고로의 성공적인 준공으로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을 자력으로 생산하는 순간이었다. 이 쇳물은 조선, 자동차, 가전 등 국내 제조업이 단기간내 비약적인 성장을 거두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만든 한국경제의 밑거름이 됐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포스코 포항제철소 1고로 작업자가 29일 종풍전 마지막 출선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우리나라는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1조5868억달러를 기록하며 세계 10위의 경제 대국으로 발돋움 했다. 포항 1고로는 국가 경제 성장을 뒷받침한 공로를 인정 받아 '민족 고로' 또는 ‘경제 고로’라고 불렸다. 또 철강협회는 국내 최초·최장수 고로로서 포항 1고로의 상징적 의미를 기념하며 첫 출선일인 6월9일을 ‘철의 날’로 제정했다.

포항 1고로가 반세기 가까이 생산해 낸 쇳물의 양은 총 5520만톤(t)에 이른다. 이는 30만톤급 초대형 유조선 1380척을 건조하거나, 중형 자동차 5520만대 생산 또는 인천대교 1623개를 건설할 수 있는 양이다.

내용적 1660㎥의 소형 고로인 1고로는 최근에 준공되는 5500㎥ 이상의 초대형 고로와 비교해 생산성이나 조업 안정성에 있어서 불리한 측면이 있었다. 포스코는 다년간 축적된 제선 기술을 바탕으로 역사적 상징성이 깊은 1고로의 생명을 연장해 왔다. 1993년 2차 개수를 마지막으로 28년 10개월이란 긴 세월 동안 쉼없이 달려오며 설비 수명은 이제 한계에 도달하게 됐고, 29일 마지막 출선을 끝으로 긴 여정을 마치게 됐다.

포스코는 향후 1고로의 역사적 가치와 의의를 고려해 고로 내부를 완전히 냉각하고 철거 작업 등을 거쳐 '포항1고로 뮤지엄'으로 개조해 일반인들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또한 1고로 종풍에 따라 연간 100만t 가량 감소하는 출선량을 만회하기 위해 남아있는 8개 고로의 연원료 배합비 개선을 추진하는 등 효율적인 운영으로 연계 산업에서 철강 수급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