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증권

[태양광 뇌관 터지나③]환매 중단 사태까지…KDB인프라 가장 커

등록 2022-10-09 11:00:00   최종수정 2022-10-18 08:52:02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2018년부터 태양광펀드 설정잔액 급증

자산운용업계, 추가 부실 여부 촉각

금감원 "펀드 부실 여부 지속 모니터링"

associate_pic
봉화군 봉성면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시설 (사진=봉화군 제공)
[서울=뉴시스] 강수윤 기자 = 문재인 정부 시절 급격히 늘어난 태양광펀드 중 환매가 중단된 펀드가 나온 가운데 추가 부실 여부가 드러날 지 주목된다.

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7년 1월부터 올해 8월까지 태양광 누적 펀드 규모가 6조4000억원에 달했다. 31개 자산운용사가 총 111개 사모펀드로 6조4000억원을 설정했다.

8월 말 기준 사모펀드 설정액은 6조4000억원이었다. 펀드의 경우 기관투자가 99.9%를 차지했고 개인투자자는 8억1000만원으로 0.1%에 불과했다.

2018년 이후 펀드 설정 규모가 늘어났다. 2017년 3502억원 수준이었던 태양광 펀드 규모는 이듬해인 2018년 1조3397억원으로 3배나 넘게 뛰었다. 2019년 2조4837억원, 2020년 4조2937억원, 2021년 5조7210억원, 올해 8월 말 6조3578억원으로 늘어났다.

공모운용사 중에서 8월 말 기준 KDB인프라자산운용의 설정잔액이 1조1000억원 규모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교보악사(8648억원), 신한(8051억원), KB(6554억원), 흥국(6231억원), IBK(2368억원), 이지스(2264억원), NH-Amundi(1699억원), JB(1310억원), 칸서스(1285억원), 알파(1117억원), 하이(973억원) 한화(917억원), 키움투자(908억원), 멀티에셋(767억원), 템플턴하나(186억원), 한국투자리얼에셋(144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사모운용사에서는 한강에셋(4742억원), 이지스RA(1613억원), 피데스(868억원), 파인스트리트(386억원), 마이퍼스트에셋(104억원), 우리PE(94억원), 한일퍼스트(30억원), 피티알(21억원), 썬앤트리(11억원), 에이치원(1억원) 등의 순으로 설정 잔액이 많았다.

태양광 펀드에서 수면 위로 드러난 일부 부실 사례는 '환매 중단'이다. 올 8월 말 만기가 도래한 것 중 환매중단된 펀드는 2개 사모펀드다. 설정액은 총 50억원이다. 펀드는 가입자가 현금화를 원할 때 자산 중 일부를 매각하거나 펀드 내부에 여유 자금을 활용해 돌려줘야 한다. 그러나 자산운용사가 투자자에게 돌려준 돈을 마련하지 못할 경우 환매가 중단된다.

현재까지 드러나 부실 규모는 50억원으로 크지 않지만 추가 환매 중단 가능성도 나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50억원이란 규모가 시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거나 의미있는 수치는 아니"라면서도 "개인들이 포함된 사모펀드에서 환매 유예가 발생하게 되면 사회적 이슈가 될 수 있다. 규모가 작은 사모펀드라면 대체로 개인들에게 팔렸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황 연구위원은 "태양광 사업이 문제가 없는 지 점검이 이뤄지고 있는 과정이라 사업성이 충분하지 않은 사안들은 어떻게 될 지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환매 유예가 되는 펀드들이 추가로 나올 가능성은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금융투자업계에서도 금감원이 태양광 사모펀드에 대한 전수조사에 나서자 자체 리스크 점검에 나서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정부에서 정책적 지원이 이뤄지면서 자산운용사들이 펀드를 늘린 것은 맞다"면서 "내부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철저하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통상 태양광펀드의 만기가 15~25년 내외로 설정된 경우가 많아 펀드 내 부실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는 게 금감원의 입장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만기가 도래하지 않았을 때는 펀드의 자산 건전성이나 잠재 위험 요인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실태점검을 하는 것"이라며 "펀드가 현재 형식적으로 문제가 없어보이지만 내부를 뜯어봐야 부실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와 함께 태양광 대출·펀드의 리스크는 물론 공사 진행률, 공사 중단 여부 등 공사진행 상황, 생산전력 판매계약 방식(장단기), 담보·보험가입 여부 등 자산건전성 현황을 보다 면밀히 점검할 예정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과거 사모펀드 사태도 있고 많은 우려가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이를 감안해 상황을 지켜보며 실태점검을 하겠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