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사회일반

일상회복에도 여전한 불안…새 팬데믹 우려 없나[코로나 종식④]

등록 2023-05-14 07:00:00   최종수정 2023-05-16 13:06:34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사스→메르스→코로나…새 감염병 발생 가능성

병상·인력 확충, 지침 마련 등 대응 과제 수두룩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자넌 12일 서울 중구 명동에서 마스크를 쓰거나 쓰지 않은 시민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2023.05.1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기자 = 코로나19 대유행으로부터 사실상 '엔데믹'이 됐지만 새로운 감염병에 의한 대유행이 발생할 가능성은 여전하다. 전문가들은 일상회복을 시작하는 지금부터 다가올 새로운 대유행에 대비한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지적했다.

14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오는 6월1일부터 코로나19의 감염병위기경보단계가 '심각'에서 '경계'로 낮아진다. 지난 2020년 1월 '심각'으로 격상된 이후 3년 5개월이 걸린 셈이다.

확진자의 격리 의무와 의원급 의료기관 및 약국 내 마스크 착용 의무 등은 행정절차에 따라 이르면 이달 중에도 해제될 수 있다.

지난 3년여간 7차례나 대유행을 반복했던 것과 달리 이번 일상회복 조치로 인한 새로운 대유행은 발생하지 않을 전망이다.

그간 감염으로 인한 자연 면역과 접종을 통한 면역 등 사회적 면역력이 높은 수준이고 코로나19의 독성도 오미크론 변이 발생 이후 낮아졌기 때문이다. 현재 'XBB' 계통의 새 변이가 발생하며 확진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그 규모는 제한적인 상황이다.

이상원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역학조사분석단장도 지난 11일 브리핑에서 "현재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예기치 않은 변이, 면역력의 약화인데 다만 그 증가의 폭은 6월 3~4만명 정도로 제한 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단 환경 파괴와 기후 변화, 인구 이동 등으로 새로운 감염병 출현의 위험은 여전한 상태다. 세계적으로 위협이 된 감염병의 경우 2003년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MERS), 2019년 코로나19 등 점점 더 발생 주기를 단축하면서 나타나고 있다.

이를 대비해 정부는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고 감염병 유행에 대응할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실제 이행 과정에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는 여전히 산더미다.

정부는 다음 팬데믹에 100만명대 유행을 가정해 3547개의 병상을 확보하기로 했는데 확보 방안과 감염병 유행이 아닌 상황에서 이 병상들을 어떻게 활용할지 등에 대해 검토가 필요하다.

인력의 경우 의대 정원 확대 여부조차 확정되지 않은 가운데 인기과 쏠림 현상, 지역 편중 현상 등을 해소할 묘수가 보이지 않는다.

감염병 발생 초기 첨병과 방파제 역할을 하는 검역 부분에서도 인력 문제가 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 인천공항에만 7000만명이 이용을 했는데 현재 검역 인원은 200명대에 불과하다.

코로나19 초기부터 다수의 사망자가 요양병원·시설에서 발생했지만 요양병원의 환기와 공조시설 기준 등 지침은 지난해 11월에야 연구 용역이 시작됐다.

고(故) 이건희 전 삼성그룹 회장이 7000억원을 기부해 화제가 됐던 중앙감염병병원 신축 이전은 병상 규모를 놓고 정부부처 간 이견이 있는 상태다.

정재훈 가천대학교 예방의학과 교수는 "그간의 경험을 비추어 보면 언제든 새로운 감염병의 등장은 발생할 것"이라며 "지금부터 병상이나 인력 등 감염병에 대비한 인프라 확충을 해 나가야 한다"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관련기사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