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금융일반

인내의 시기…자구책 총동원[고난의 저축은행②]

등록 2024-04-14 10:00:00   최종수정 2024-04-15 15:18:29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2015~2022년 누적이익 9.7조…"손실흡수능력 충분"

부실채권 매각 추진…업계에선 가격 저평가 우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저축은행권이 지난해 5000억원이 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9년 만의 적자 전환이다. 업계는 그동안 쌓아둔 이익과 충당금이 충분하고 건전성 지표가 나쁘지 않은 수준이라며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당시와는 달리 관리가 가능하다고 강조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자구책 마련에도 나섰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지난해 5559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2015년부터 8년간 흑자를 기록해왔으나 9년 만에 적자로 전환했다.

저축은행권은 지난해부터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지만 위기를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상황이며 저점을 지나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고 있다.

2015년 5000억원의 흑자를 낸 저축은행은 2022년까지 이익폭을 늘려왔다. 2017년부터 2022년까지는 1조원대 순이익을 매년 기록해왔다. 2021년에는 2조원, 2022년에는 1조6000억원의 흑자를 냈다. 2015년부터 2022년까지 누적 이익은 9조7000억원에 달한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이 몇 년간 수조원대의 매출을 기록해왔으며 배당보다는 내부 유보를 해온만큼 손실 흡수 능력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박상원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지난달 21일 "저축은행에서 5000억원의 적자가 났지만 3~4년간 영업실적을 보면 거의 2조원대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어 손실흡수능력이 충분하다"며 "또 저축은행은 거의 배당 대신 내부 유보를 선택하고 있어 국제결제은행(BIS) 비율도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업계도 2011년 저축은행 사태 때와는 다른 수준의 지표를 제시하면서 건전성을 충분히 관리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6.55%이다. 취약계층인 서민과 중소상공인이 주거래 대상인 데다 최근 부동산 경기침체 등의 영향으로 전년 말(3.41%)보다 3.14%포인트 급등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7.72%로 전년 말 4.08%보다 3.64%포인트 올랐다.

반면 저축은행 구조조정 당시인 2011년 6월 말 기준 연체율은 25.1%,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7.0%였다.

지난해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4.35%로 전년 말(13.15%) 대비 1.20%포인트 상승했다. 당기순손실에도 자본확충을 위한 증자와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한 위험가중자산 축소로 상승했다. 법정기준 BIS비율 대비 약 2배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장기간의 흑자, 내부유보 등으로 모든 저축은행이 법정기준 BIS비율을 3%포인트 초과해 유지 중이다. 2011년 6월 당시 BIS비율은 1.1% 수준이었다.

지난해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13.89%로 법정기준 100%를 13.89%포인트 초과했다.

지난달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연체율이 올라갔지만 저축은행권이 어려웠던 2011년이나 2014년에 비하면 절대 높지 않다"면서 "걱정할 수준이 아니다"라고 설명한 바 있다.

저축은행권은 부실채권 정리 등을 통해 정상화에 주력할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는 건전성관리 강화를 위해 개인사업자대출의 경우 새출발기금 외 민간매각을 상반기 중에 추진할 것이라고 지난달 밝혔다.

1일부터는 부실화된 일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효율적 정리를 위해 경·공매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표준규정에 반영해 시행한다. PF대출의 연체 기간이 6개월을 넘을 경우 3개월 단위로 주기적인 경·공매를 실시하는 내용이 담겼다. 공매가를 정할 때 채권회수 가능성 하락 등을 감안한 실질 담보가치, 매각 가능성, 직전 공매회차의 최저입찰가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도록 했다.

사실상 입찰 가격을 낮춰 매각 가능성을 높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채권 가격이 저평가되면서 제값을 받지 못할까 우려하고 있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이 좋지않다보니 경공매가 유찰되면서 최종 가격이 깎이게 된다"면서 "경공매가 진행될 때마다 유찰되고 가격이 더 낮아지는 악순환이 반복될까봐 업계에서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격이 깎이면 중순위, 후순위의 경우 받을 수 있는 원금의 비율이 낮아지거나 회복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장금리가 하향 안정화되면서 손실확대의 주요 요인이던 이자비용이 감소해 관련 손익은 개선될 전망이다. 지난해에는 2022년 고금리 수신 유치에 따라 이자비용이 전년 대비 2조4000억원가량 증가한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