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 문화일반

시리얼 회사 포스트 상속녀의 ‘힐우드 에스테이트’ [이한빛의 미술관 정원]

등록 2024-11-09 06:00:00   최종수정 2024-11-11 11:02:31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associate_pic
힐우드 입구홀, 1층에서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왕족들의 초상화와 함께 프랑스 장식품이 같이 배열되어 있다. 힐우드 에스테이트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뉴시스] 이한빛 미술칼럼니스트 = 20세기 초중반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여성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100년의 시간을 돌려 당시의 럭셔리 라이프를 상상해볼 수 있는 곳이 있다. 워싱턴 D.C. 북서쪽, 언덕배기의 고급주택가에 자리한 ‘힐우드 에스테이트, 뮤지엄 앤 가든스’가 바로 그곳이다. 시리얼 회사로 유명한 포스트의 상속녀였던 마조리 메리웨더 포스트(Marjorie Merriweather Post , 1887 ~ 1973)가 거주했던 집이 이제는 미술관으로 바뀌어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상속녀에서 굴지 재벌로.. 드라마보다 더 드라마틱한 마조리
마조리 메리웨더 포스트는 찰스 윌리엄 포스트와 엘라 레티티아 메리웨더의 외동딸로 태어났다. 시리얼 ‘포스트’로 유명한 포스텀 시리얼 컴퍼니(Postum Cereal Company)를 물려받은 것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27세때(1914년)의 일이다. 창업자이자 사업가인 아버지의 기질을 그대로 물려받았는지 마조리는 푸딩 제조업체인 젤로(Jell-O), 커피 제조업체인 맥스웰 하우스, 초콜릿 제조업체인 월터 베이커 등 미국의 크고 작은 식품업체를 차례로 인수하며 덩치를 키웠다. 두 번째 남편인 금융가 에드워드 프랜시스 허튼의 도움도 컸다. 1914년 2000만달러 규모였던 회사는 1928년 수익만 1억100만달러에 달할 정도로 커졌고 그해 10월 다우존스 지수에 편입되기도 했다.
associate_pic
프렌치 드로잉 룸. 18세기 프랑스를 재현했다. 힐우드에스테이트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이듬해인 1929년엔 클라렌스 버드아이(Clarence Birdseye)가 소유한 냉동식품 회사 ‘제너럴 푸드 컴퍼니’를 인수했다. 마조리 포스트가 3년전부터 공들였던 회사로, 냉동식품이 미국 생활을 완전히 바꿀 것이라는 직관에서 시작된 일이었다. 골드만 삭스와 함께 49대 51로 지분을 확보하고, 포스텀 시리얼 컴퍼니는 이후 ‘제너럴 푸드 코퍼레이션’(General Food Coperation)으로 사명을 변경한다. 시리얼 회사 상속녀가 미국을 호령하는 식품 재벌이 된 것이다.
 
대단한 사업가였던 마조리의 곁을 지킨 남편은 총 4명이었다. 첫 결혼은 1905년 그리니치 은행 투자가였던 에드워드 베넷 클로즈와 했고 사이에서 두 명의 딸을 낳았다. 두 번째 결혼은 1920년 금융투자가 에드워드 프랜시스 허튼이었다. 둘은 포스텀 시리얼을 저너럴 푸드 코퍼레이션으로 키웠고, 사이에 한 명의 딸을 낳았다. 세 번째 결혼은 1935년, 워싱턴 D.C.변호사인 조셉.E.데이비스와 했다. 1936년부터 1938년까지 2차 세계대전 당시 주 러시아 미국 대사였던 그를 따라 마조리도 모스크바로 넘어갔다. 이때 러시아 예술품을 많이 컬렉션 할 수 있었다. 데이비스는 대사로 역임하며 그때 겪었던 모스크바를 ‘모스크바 미션’(Mission to Moscow, 1941)이라는 책으로 펴냈는데 1943년에 동명의 영화로도 제작됐다. 여배우 앤 하딩이 데이비스의 아내였던 마조리 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마지막 결혼생활은 1958년부터 1965년까지, 피츠버그 사업가인 허버트 A.메이와 함께 했다. 네 번의 결혼과 이혼 끝 마조리는 원래 자신의 이름이었던 ‘마조리 메리웨더 포스트’로 돌아왔다.

associate_pic
다이닝 룸. 주요한 저녁모임은 모두 이곳에서 열렸다. 힐우드에스테이트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작품에 대한 안목과 러시아에 대한 사랑
힐우드 에스테이트는 마조리 포스트의 삶을 축약판처럼 보인다. 작은 성처럼 보이는 저택도 훌륭하지만 뒤에 펼쳐지는 25에이커의 정원이 압권이다. 원래도 부유했지만 사업을 하며 거부를 쌓은 마조리는 프랑스 가구와 회화작품을 특히 좋아했고 세번째 남편인 데이비스와 러시아로 건너가며 러시아 미술에도 눈을 떴다.

1930년대 스탈린의 소련정부가 전쟁에 필요한 외화를 마련하기 위해 압수 예술품을 매매했는데, 이때 데이비스 부부가 좋은 컬렉션을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힐우드 에스테이트에는 현재 약 1만7000점의 컬렉션을 보관하고 있다. 캐서린 대제의 초상화, 러시아 최고급 공예품으로 꼽히는 파르베제 달걀, 캐서린 궁의 샹들리에, 마리 앙트와네트를 위해 디자인된 캐비닛과 회전 의자, 아프리카 세브르 도자기 등 18, 19세기 프랑스 미술품과 러시아 미술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지금 미술관으로 쓰이고 있는 본관은 마조리가 살아 생전 쓰던 모습대로 전시장으로 쓰이고 있다. 입구 홀에 들어서면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옆 여러 초상화가 걸려있고, 그 중엔 캐서린 대제의 것도 있다. 예술과 과학의 수호자이자 러시아를 현대화한 캐서린 대제는 마조리가 가장 좋아했던 군주로 알려져 있다. 1층 도서관에는 영국 가구를 중심으로 조지 왕조 스타일의 가구, 부모님의 초상화와 자신의 초상화도 걸려있다.

이외에도 조식을 먹는 식당엔 작은 원형테이블과 그에 어울리는 아기자기한 식기, 정원을 내다볼 수 있는 창엔 시기에 어울리는 난초가 자리잡았다. 은촛대와 은식기가 끝없이 진열된 식당, 차분한 핑크색 톤이 따뜻함을 주는 마스터 베드룸, 영국식으로 꾸민 손님용 침실, 마찬가지로 영국 신고전주의 스타일을 반영한 2인 침실 등 복도를 지나 방을 하나 열어 볼 때마다 당시 미국을 주름잡던 소셜라이트의 생활이 생생하게 떠오른다.
associate_pic
1층 도서관 풍경. 저택의 다른 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화려하지만, 컬렉션의 수준은 상당하다. 영국가구를 중심으로 방을 꾸몄다. 벽에는 부모님과 자신의 초상이 걸렸다. 힐우드에스테이트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18세기 프랑스 회화나 가구, 장식품 등은 미국 주요 미술관의 단골 컬렉션이다. 당장 내셔널 갤러리에도 한 개 윙을 채울 정도로 그 양식의 변화를 자세하게 설명해 놓았다. 그러나 미술관이라는 ‘감상’만을 위한 공간에 놓여있는 작품을 만나는 것과 가정집에 놓여 실제로 쓰였던 광경을 목격하는 건 전혀 다른 차원의 경험이다. 작품 하나를 오래 들여다보고 그 아름다움에 집중할 수 있는 건 분명 미술관의 덕목이다.

그러나 미술품이라는 것의 출발이 장식이고, 우리가 사는 공간에 놓여 어떠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떠올려보면, 미술관에서 미술사적 맥락에서만 만나는 미술품은 진정한 미술품이 갖는 정체성의 절반만 만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방에 걸려서, 철마다 달라지는 화초와 함께, 늘 쓰는 식기로, 가구로 만나는 예술품은 그래서 더욱 특별하다.

◆프랑스정원부터 일본정원까지
힐우드는 마조리가 세 번째 남편인 데이비스와 이혼하고 나서 마련한 공간이다. 36개의 객실이 있는 아베르몽(Arbremont)저택을 인수하고, 건축가 알렉산더 맥일베인에게 맡겨 대대적인 리모델링 후 1956년에 완공했다. 정원엔 봄엔 장미가, 가을엔 국화가 만개한다. 마조리가 부지를 건설할 당시 계획했던 것으로, 일년 사계절이 모두 꽃과 나무가 풍성한 것은 아니지만 계절에 따른 변화가 있어 방문 할 때마다 다른 풍경을 선사한다.

associate_pic
프랑스 정원. 작은 분수가 있는 연못과 자갈, 관목이 질서있게 자리잡았다. 힐우드에스테이트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정원 한켠엔 작은 온실이 있는데, 이곳의 주인공은 난초다. 마조리 본인이 난초를 좋아해서 열정적으로 관리했다고 한다. 현재는 열대식물 컬렉션과 함께 약 2000개 이상의 표본과 수 백 가지 품종을 소장하고 있다. 저택과 가까운 정원의 주인공은 프랑스식 정원이다. 낮은 분수가 있는 작은 연못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자갈이 깔리고, 무릎 정도 오는 관목이 질서 있게 자리잡은 이 곳은 2층 마스터 베드룸 창문을 통해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아치를 통해 들어가고, 사방은 담쟁이 덩굴 담으로 둘러 쌓여 마치 비밀의 정원처럼도 보인다. 정원의 한 쪽 끝에는 사냥의 여신 다이애나가 사냥개를 숲에서 데리고 나오는 모습의 조각이, 맞은편에는 스핑크스 대리석 한 쌍이 자리잡았다. 저택의 미술품 배치처럼 정원도 공간에 여백이 충분하지만 또한 빈 곳이 없이 꽉 차있는 느낌을 준다. 마조리가 저택에 머물던 당시 이 정원을 내려다보며 전화 통화를 하고 직원들과 아침 회의도 주재했다고 하니, 얼마나 아끼던 곳인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저택과 약간 떨어진 곳엔 일본정원이 있다. 쇼고 미야이다가 설계한 이 정원은 석등, 탑,입구를 지키는 돌로 만든 개 조각상(foo dog) 사이 일본 단풍나무와 작은 개울이 아기자기하게 자리잡았다. 낮은 아치형 다리와 호테이(일본 불교 행운의 신)를 만나면 완전 일본의 신사에 온듯한 느낌이지만 이곳의 자연은 어딘가 일본스럽지는 않은 느낌이다.

일본에서 공수해온 단풍나무, 백송 같은 나무 사이 콜로라도 블루 사이프러스 같은 미국 토종 수목이 섞여 있어서다. 쇼고는 “부지와 정원의 성격에 적합해야한다”며 약간은 일본스럽지만 또 동시에 미국스러운 일본 정원이 의도적이었다고 설명한다.
associate_pic
일본식 정원. 쇼고 미야이다가 설계했다. 힐우드에스테이트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이 같은 정원이 하루아침에 탄생한 것은 아니다. 1955년부터 1979년까지 원래 있던 테니스코트, 수영장이 철거되고 다른 건물이 들어섰다. 난초 수집에 온실 규모도 커졌고 동백꽃을 위한 전용 하우스도 들어섰다. 자신이 사랑하면서 가꾼 곳에서 마조리는 세상을 떠났고, 그의 유해는 장미정원에 안치됐다. 1956년 백악관 장미정원을 디자인한 페리 헌트 휠러를 고용해 만든 정원이다. 장미가 주종을 이루나 튤립, 국화와 같은 다른 꽃도 있어, 봄에서 가을에 이르기까지 꽃이 시들지 않는 곳이다. 마조리가 잠든 곳엔 “내 모든 희망은 내 안에 있다”(In me mea spes omnis)는 문장이 새겨진 붉은색 화강암 기념비가 있다. 불꽃과 같은 삶을 살아낸 여인을 지탱해 준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인지도 모르겠다.
associate_pic
장미정원. 불꽃 같은 삶을 살았던 마조리 포스트가 영면에 든 곳이다. 힐우드에스테이트 홈페이지. *재판매 및 DB 금지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