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사회일반

'잠 못 이루는 고통' 불면증…"수면제 대신 '이것' 어때요?"

등록 2025-03-12 13:30:00   최종수정 2025-03-13 14:36:18
  • 크게
  • 작게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프로바이오틱스 숙면에 도움

세로토닌·멜라토닌 생성 촉진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지난해 9월8일 오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피크닉장에서 유한킴벌리가 주최한 2024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 숲속 꿀잠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잠을 청하고 있다.  2024.09.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최근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잠 못 이루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장 건강에 좋은 유익균인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는 등 장 건강을 잘 관리하면 숙면에 도움이 된다.

12일 의료계에 따르면 장 건강과 수면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장내 세균인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하면 스트레스가 완화되고 숙면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속속 나오고 있다.

프로바이오틱스에 속하는 대표적인 유익균은 유산균, 비피더스균, 락토바실러스균으로, 감마아미노부티르산(가바) 생성량을 늘려 수면을 촉진시킨다. 가바는 뇌와 신체조직에 분포하는 비단백질성 아미노산을 말한다.

신원철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장내 미생물 중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은 가바를 직접 생산하거나 가바 수용체 활성도를 증가시킨다"면서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가바 수용체 발현을 증가시키며 스트레스를 줄이고 숙면을 촉진시킨다"고 말했다.

가바 생성량이 늘어나면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 돼 심박수가 감소되면서 혈압이 안정되고 근육이 이완 돼 수면의 질이 높아진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뇌의 신경전달물질로 '행복 호르몬'으로 불리는 세로토닌과 수면을 촉진하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생성을 촉진시켜 숙면을 유도한다.

트립토판이 많이 들어있는 견과류, 달걀, 유제품, 연어, 콩, 바나나 등을 섭취하면 프로바이오틱스에 의해 세로토닌이 많이 생성된다. 밤이 되면 세로토닌은 멜라토닌으로 바뀌어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신 교수는 "장내 세균이 건강하지 않으면 세로토닌과 멜라토닌 분비량이 줄면서 불면증이 유발될 수 있다"면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분비되는 호르몬인 코티졸 분비가 늘어나 뇌의 각성 상태가 유지되면서 쉽게 잠들기 어려워지고 자주 깰 수 있다"고 말했다. 장내 세균이 다양해야 장 건강이 유지돼 불면증의 위험이 낮아지고 깊이 잠들 수 있다는 것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프로바이오틱스를 복용한다면 장까지 살아서 도달하는 장용성 코팅 제품이 효과적이다. 하루 최소 100억 CFU(세균 군집을 형성할 능력이 있는 세균 수) 이상 포함된 보충제가 권장된다. 프로바이오틱스가 들어 있는 요거트, 김치, 된장과 같은 발효 식품을 많이 먹는 것도 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이메일
  • 프린트
  • 리플
위클리뉴시스 정기구독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