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울산 AI데이터센터, 韓 '3대 강국' 동참 SK 첫 걸음"
李대통령, 울산 AI데이터센터 출범식 참석최태원 "현재 100㎿급 건설…향후 1GW급 확장"
최 회장은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최고의 AI고속도로, 인프라 발전에 필수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SK그룹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 잡고 울산 미포 국가산업단지에 조성할 예정이다. 약 6만장의 GPU가 투입될 예정으로 국내에서 추진 중인 AI 데이터센터 중에서는 최대 규모다. AI 데이터센터는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역할로 AI시대 필수 인프라 중 하나로 꼽힌다. AI 고속도로는 전국 AI 데이터센터를 고속도로망처럼 연결해 모든 산업에 AI를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것으로 울산 AI 데이터센터가 핵심 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간담회는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 후 첫 기업 현장 방문으로 눈길을 끌었다. 최 회장은 "현재 100㎿급으로 건설하고 있지만 향후 1GW급으로 확장해 국내 AI수요에 대응하는 글로벌 허브 역할로 발돋움할 것"이라며 이 대통령에게 AI 고속도로 인프라를 위한 5개 제안을 했다. 그는 "AI 원스톱 바우처 사업을 확대해 달라"며 "기업, 스타트업, 연구기관, 소상공인, 중소기업을 포함해 AI 인프라를 싸고 쉽게 쓰기 위해 정부의 바우처 사업을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또 "정부 주도 AI 시장을 형성하고 정부가 수요자도 되어야 한다"며 "정부의 각 부처가 사용할 AI 어플을 발주함으로써 현재 정부가 AI 정부화가 될 필요성이 있는데, 5년간 5조원의 시장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AI 국가 인재 양성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초중고에서 AI를 필수과목으로 하고 1000만명의 AI 인재 양성을 위한 발걸음을 시작해야 한다"며 "기본적으로 AI 교육을 의무교육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울산을 AI특구로 지정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대한민국에서 제조업은 모든 산업을 이끄는 중추적 형태지만 AI 접목이 아직 부족하다"며 "울산 제조기업이 보유한 데이터, 스타트업 등과 대화해 제조 AI를 혁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