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사회조사]노인 80% "자녀와 안 살래"…생활비 직접 버는 비율↑
통계청, 복지·노동·문화 등 '2019년 사회조사 결과 발표'60세 고령인구 '자녀와 따로 산다' 8년새 60.6%→70.7%생활비 마련 위해 일하는 고령층 증가…자녀 지원 줄어생활여건 좋아지고, 건강보험·국민연금 납부 부담 감소
[세종=뉴시스]오종택 기자 = 60세 이상 노인 중 자녀와 같이 살지 않은 비율이 2년 전에 비해 늘었고, 10명 중 8명은 따로 살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일을 해 번 돈으로 생활비를 충당하거나 정부 지원을 받는 노인이 늘어난 반면, 자녀에게 도움을 받는 비중은 줄었다. 19세 이상 인구 중 노후 준비를 한다는 비중은 오히려 줄었고, 하고 있더라도 국민연금에 대한 의존하는 경우가 많았다. 통계청은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전국 1만9000 표본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약 3만7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15일부터 30일까지 16일 동안 조사했다. ◇60세 고령자 독립생활…자녀 의존도 낮아졌다 60세 이상 고령자 중 현재 자녀와 따로 살고 있는 비중은 70.7%로, 2011년 66.6%를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자녀와 따로 사는 주된 이유는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33.1%)와 '독립생활이 가능하므로'(29.9%)로 나타났다. 자녀와의 관계가 불편해서 따로 산다는 응답자도 2.9%로 2년 전( 2.1%)에 비해 늘었다. 반대로 자녀와 같이 살고 있는 이유로는 '본인의 독립생활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2017년 26.3%에서 2019년 23.2%로 줄어든 반면, '자녀의 독립생활 불가능'하다는 의견은 2017년 31.0%에서 2019년 31.6%로 늘어 부모세대의 자녀에 대한 부양 부담이 늘어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향후에도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고 응답한 비중은 79.3%로, 10년 전 62.9%에 비해 16.4%포인트(p)나 크게 증가해 앞으로도 부모와 자녀가 따로 사는 가구가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생활비 직접 버는 고령 인구 증가…자녀에 손 안 벌려 60세 이상 고령자 중 69.9%는 본인이나 배우자 생활비를 직접 마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및 사회단체'(12.4%)의 비중이 높아진 반면, '자녀 또는 친척 지원'은 17.7%로 20% 이하로 낮아졌다. 이는 10년 전에 비해 본인이나 배우자가 생활비를 직접 마련하는 비중이 9.9%p 증가한 반면, 자녀나 친척의 도움을 받는 비중은 13.7%p나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정부나 사회단체 지원은 3.8%p 증가세를 보였다. 생활비를 본인이나 배우자가 부담하는 고령 인구 중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으로 충당하는 비중이 2년 전 54.2%에서 58.1%로 높아졌다. 반면, '연금·퇴직급여'(26.2%), '재산소득'(9.5%)은 2년 전보다 감소해 은퇴할 나이에도 생활비 마련을 위해 일을 계속하는 고령층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19세 이상 인구 중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는 사람은 65.1%로 2년 전(65.4%)보다 소폭 줄어든 반면, 노후 준비를 하고 있지 않다는 사람은 34.9%(2017년 34.6%)로 오히려 늘었다. 노후 준비를 하고 있지 않은 이유는 '준비할 능력 없음'이 40.1%였고, '앞으로 준비할 계획'(33.7%), '아직 생각 안함'(17.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55.2%는 국민연금을 주된 방법으로 꼽았다. ◇생활여건 좋아지고, 건강보험·국민연금 납부 부담 줄어 우리 사회 전반적인 생활여건을 2년 전과 비교했을 때 국민의 48.6%는 '좋아졌다'고 응답했고, '변화없음' 42.3%, '나빠짐' 9.1% 등으로 나타났다. '좋아졌다'는 응답비율은 2017년(41.1%) 대비 7.5%p나 상승해 최근 2년간 국민들이 체감하는 우리 사회의 보건의료 서비스나 사회보장제도, 문화·여가생활 보장 등은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공공시설로는 보건의료시설(23.2%), 사회복지시설(16.5%), 국·공립 어린이집 및 유치원(15.9%) 등을 꼽았지만 2년 전에 비해서는 그 비율이 모두 감소했다. 공영주차시설(13.2%)과 생활체육시설(6.2%), 문화예술회관(6.2%)은 필요하거나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늘었다. 매월 사회보험료를 납부하는 사람 중 소득에 비해 부담된다는 의견은 국민연금(56.0%), 건강보험(55.8%), 고용보험(35.0%) 순이며, 모두 2년 전보다는 감소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